제석사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101802
한자 帝釋寺
분야 종교/불교
유형 기관 단체/사찰
지역 경상북도 경산시 자인면 북사안길 18[북사리 226-1]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창국

[정의]

경상북도 경산시 자인면 북사리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0교구 본사 은해사 소속 사찰

[개설]

대한불교조계종 제10교구 본사인 은해사의 말사이다. 『한국사찰전서』에 의하면 1625년(인조 3) 유찬(惟贊)이 창건하였다고 하며, 『삼국유사』의 “원효대사가 자신이 태어난 곳과 살던 집에 절을 세워 각각 사라사(裟羅寺)와 초개사(初開寺)로 하였다”는 기록에 주목하여 제석사가 곧 사라사라는 주장이 있으나 이를 뒷받침할 확실한 고증사료는 없다.

[건립 경위 및 변천]

『한국사찰전서』와 경내에 있는 ‘제석사중수기념비(帝釋寺重修紀念碑)’에 의하면 1625년 유찬 창건, 1802년(순조 2) 처사 손대권(處士 孫大權) 중창, 1910년 월파대사(月波大師) 삼창, 1933년 만호(萬湖) 중수, 1961년 용해화상(龍海和尙) 중수, 1977년 태허선사(太虛禪師) 사창이라고 한다. 하지만 19세기 말과 1932년에 간행된 ‘자인현읍지’ 불우조(佛宇條)에는 제석사가 보이지 않는다.

현재의 제석사는 대경대학교의 뒷산인 도천산(到天山)에 있던 제석암(帝釋庵)이 1930년대에 현재의 위치로 이전되었다는 구전이 있으며, 1977년경 칠성각 서편 담장 공사 작업 중 기와 조각과 함께 현재는 행방이 묘연한 금동관음입상이 출토되었다고 한 것으로 보아 이전에 이곳에 절터가 있었음을 짐작하게 한다.

[활동 사항]

원효를 기리기 위한 목적으로 2003년 원효성사전(元曉聖師殿)을 중건하였고 2006년에는 ‘원효팔상탱화’를 봉안하였다. ‘원효팔상탱화’는 원효상의 후면을 장식하고 있으며 원효의 일대기를 도상화한 것이다. 매년 음력 5월 4일 원효성사 탄생 다례제를 봉행하고 있다.

[현황(조직,시설 현황 포함)]

1962년 대웅전을 건립하였고, 1965년 옛 대웅전 자리에 칠성각을 건립하였다. 2001년 대웅전을 중창하고 삼존불을 모셔 대웅보전으로 개명하였다. 2003년 불교계 최초의 원효성사전을 건립하였고, 칠성각을 중수해서 삼성각으로 개명하였다. 대웅보전 우측에는 2009년 세운 ‘원효성사 탄생지 유허비(元曉聖師誕生地遺墟碑)’, 1977년 태허선사가 세운 ‘제석사 중수 기념비(帝釋寺重修紀念碑)’, 1979년 주지 박형준(朴亨俊)이 세운 ‘제석사 헌답 청신사 파평윤공 휘 익진 공덕비(獻沓功德碑 淸信士坡平尹公諱翊珍功德碑)가 있다.

[관련 문화재]

약 400여 년 전 한 농부가 밭갈이를 하던 중 불상과 탑신이 발견되어 이곳에 절을 짓게 되었다는 구전이 있는데, 이와 관련이 있는지는 알 수 없으나 통일신라시대로 추정되는 석불좌상과 연화대석, 석등 연화대석 등이 남아 있다. 그리고 삼성각에는 1934년에 조성된 가로 98cm, 세로 123cm의 산신탱화(山神幁畵)가 있는데, 경산 보문사 산신탱화와 제작시기 및 그린이가 같다.

[참고 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s://encykorea.aks.ac.kr)』

경산시 문화관광 비지정문화재(https://www.gbgs.go.kr)

『전통사찰총서14 –대구・경북의 전통사찰Ⅰ-』(사찰문화연구원, 2000)

『경산의 문화유적 기문』(경산문화원, 2001)

이봉춘, 「원효 탄생지에 대한 고찰」(『원효학연구』1, 원효학연구원, 1996)

최재목・손지혜・김은령, 「원효상의 현대적 재현 -제석사의 탱화를 중심으로-」(『동북아문화연구』25,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0)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