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100818
한자 慶山市廳
영어공식명칭 Gyeongsan City Hall
분야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경상북도 경산시 남매로 159[중방동 701-17]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임경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1914년 3월 1일연표보기 - 경산군청 설치
설립 시기/일시 1995년 1월 1일 - 통합 경산시청 개청
최초 설립지 경산읍사무소 - 경상북도 경산시 서상동 18-1 지도보기
주소 변경 이력 경산시청 - 경상북도 경산시 남매로 159[중방동 701-17]
현 소재지 경산시청 - 경상북도 경산시 남매로 159[중방동 701-17]지도보기
성격 행정 기관
전화 053-811-2231
홈페이지 경산시청(http://www.gbgs.go.kr)

[정의]

경상북도 경산시 중방동에 있는 경산시 관할 지방 자치 행정 기관.

[개설]

경산시청은 지방 자치 단체인 경산시의 행정 사무를 맡아보는 기관이다.

[설립 목적]

경산시청은 중앙 정부 및 광역 자치 단체[경상북도]로부터 위임받은 업무와 경산 지역 고유의 대민 행정 및 민원 업무 수행을 위해 설립되었다.

[변천]

경산시청은 일제 강점기 시절 경산군청으로 출발하였다. 경산군청 설치는 조선총독부가 1914년 3월 1일에 시행한 행정 구역 개편[「도의 위치 관할구역 및 부군의 명칭 위치 관할구역」[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년 12월 29일 공포]에 의함]에 따른 결과였다. 이때 기존의 경산군하양군, 자인군, 신령군 남면 일부를 합병하여 새로운 경산군[11개면]이 만들어졌다.

이후 1956년 7월 8일 「읍·면설치와행정구역및면의명칭변경에관한법률」[법률 제393호] 에 따라 경산면이 경산읍으로 승격하였으며, 1966년 7월 1일 용성면에 육동출장소를 설치하였다[경산군 조례 제108호]. 1973년 7월 1일 「읍설치에관한규정」[대통령령 제6543호]에 의해 안심면과 하양면이 각각 안심읍과 하양읍으로 승격하였으며, 1981년 7월 1일 「대구직할시및인천직할시설치에관한법률」[법률 제3424호]에 의해 안심읍과 고산면이 대구직할시에 편입되며 2읍 7면 1출장소 체제가 되었다.

1986년 12월 1일 육동출장소를 폐지하였고[경산군 조례 제1008호], 1987년 1월 1일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의명칭변경에관한규정」[대통령령 제12007호]에 의해 와촌면, 경산읍, 압량면의 일부 행정 구역이 조정되었다. 1989년 1월 1일 「오산시등12개시및태안군설치와군의명칭변경에관한법률」[법률 제4050호]에 의해 경산읍이 경산시로 승격되었고, 경산군은 1읍 7면으로 조정되었다. 1995년 1월 1일 「경기도남양주시등33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 법률」[법률 제4774호]에 의해 경산시와 경산군이 통합되었다.

1997년 11월 1일 진량면이 진량읍으로 승격[경산시 조례 제226호]하고, 2004년 10월 18일 서부동이 서부1동과 서부2동으로 분동[경산시 조례 제481호]되며 2읍 6면 7동 체제가 되었다. 2020년 1월 1일 「지방자치법」[법률 제16057호]에 따라 「경산시 압량읍 설치에 관한 조례」[경산시 조례 제1172호]가 시행되면서 3개 읍[하양읍·진량읍·압량읍], 5개 면[와촌면·자인면·용성면·남산면·남천면], 7개 동[중앙동·동부동·서부1동·서부2동·남부동·북부동·중방동] 체제가 되었다.

경산시와 경산군이 통합된 1995년 1월 1일 ‘통합 경산시청 개청식’이 있었고, 2013년 7월 5일에는 경산시청 별관 건물을 증축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경산시청은 관내 행정 구역을 관리하고 조례와 규칙을 제정하며, 지방세 부과와 징수, 예산의 편성과 집행, 국가 재산의 관리, 가족 관계와 주민 등록 관리, 복지 사업과 위생 사업, 각종 산업 진흥, 지역 개발과 생활 환경 개선, 체육과 문화 예술 진흥 등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경산시는 12개 대학 11만 명의 대학생, 170여 개의 대학 부설 연구소, 지역 3개 산업단지와 2,900여 입주 기업, 경북테크노파크 등 9개의 중책 연구 기관을 거점으로 한 청년 희망 도시, 중소기업 경제특구로 성장을 거듭하고 있는 중이다.

경산시에는 2020년 현재 6개 국책 사업 연구 기관이 자리한 경산지식산업지구, 경산4일반산업단지, 화장품특화단지 등의 산업단지도 한창 조성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4차 산업 혁명을 선도하는 산업 경제 중심 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현황]

경산시청의 관할 행정 구역 면적은 2020년 6월 기준 411.76㎢[임야 55.2%, 농경지 22.3%, 대지 3.8%, 기타 8.7%]이며, 관할 가구와 인구는 11만 7,601가구, 27만 3,779명[남 13만 9,021명, 여 13만 4,758명]이다.

조직은 시장, 부시장, 5국[기획재정국·행정지원국·경제환경국·복지문화국·건설도시안전국], 27과[기획예산과·세무과·징수과[이상 기획재정국], 총무과·새마을민원과·허가과·토지정보과·정보통신과·회계과[이상 행정지원국], 일자리경제과·중소벤처기업과·교통행정과·산림녹지과·환경과·자원순환과[이상 경제환경국], 복지정책과·사회복지과·여성가족과·문화관광과·평생학습과·체육진흥과[이상 복지문화국], 건설과·안전총괄과·도시과·도로철도과·건축과·상하수도과[이상 건설도시안전국]], 1담당관[감사담당관], 1단[전략사업추진단], 2개 직속 기관[경산시보건소·경산시농업기술센터], 5사업소[경산시수도사업소·경산시민회관·경산시차량등록사업소·삼성현문화박물관·경산시립도서관], 3읍[하양읍·진량읍·압량읍], 5면[와촌면·자인면·용성면·남산면·남천면], 7동[중앙동·동부동·서부1동·서부2동·남부동·북부동·중방동] 체제로 구성되어 있다.

경산시청 청사는 대지 면적 7,336㎡, 건축 연면적 1만 6,763㎡의 본관과 대지 면적 3,817㎡, 건축 연면적 3,520㎡ 규모의 별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관 경내에는 지하 1층, 지상 4층 규모의 본관과 경산시의회 건물, 후관 1동과 후관 2동이 들어서 있다.

경산시 심벌마크는 경산의 영문 이니셜인 ‘G’와 ‘S’를 사용하여 좌우 음양의 조화를 위해 적극적인 ‘G’의 강력한 이니셜 속에 소극적인 ‘S’를 자연스럽게 나타내고 있다. 녹색은 환경과 인간[교육], 미래 비전과 희망, 청색은 역사와 첨단 산업, 교육이 이루어낸 터전을 상징하며, 전체적으로 녹색의 터전 위에서 완전한 발전을 이루어 가는 청색의 희망적인 모습을 화합하는 어울림으로 형상화하였다. 경산시의 시목(市木)은 은행나무이며, 시화(市花)는 목련, 시조(市鳥)는 까치, 시 캐릭터는 베푸리로 정해져 있다. 베푸리는 하나 이상으로 나눈다는 의미이며, 연산 기호의 나누기[÷]를 형상화한 것이다.

[의의와 평가]

경산시청은 경산시를 4차 산업 혁명을 선도하는 경상북도의 산업 경제 중심 도시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주력하고 있으며, 고유의 행정 업무를 통해 경산 시민들에게 기본 공공 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주민 복지와 지역 개발을 위해서도 힘쓰고 있다.

[참고문헌]
  • 『경산시지』(경산시지 편찬위원회, 1997)
  • 『통계연보』(경산시, 2019)
  • 경산시청(http://www.gbgs.go.kr)
  • 법제처(http://www.moleg.go.kr)
  • 자치법규정보시스템(http://www.elis.go.kr)
  • 인터뷰(경산시청 회계과 직원 이상진, 남, 2020. 8. 20.)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22.10.26 내용 삭제 과거 시정 목표 삭제 처리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