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2304
한자 光州廣域市廳
영어공식명칭 Gwangju Metropolitan City Hall
이칭/별칭 광주부,광주읍,광주시청,광주직할시청
분야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서구 내방로 111[치평동 1200]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형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1913년 2월 - 광주면사무소 가청사 설립
이전 시기/일시 1924년 12월 20일 - 광주면사무소 신청사 이전
이전 시기/일시 1969년 10월 1일 - 전라남도 광주시청사 이전
이전 시기/일시 2004년 3월 30일 - 광주광역시청사 이전
개칭 시기/일시 1931년 4월 1일 - 광주읍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35년 - 광주부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49년 - 광주시청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86년 11월 1일연표보기 - 광주시청에서 광주직할시청으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95년연표보기 - 광주직할시청에서 광주광역시청으로 개칭
최초 설립지 광주면사무소 - 광주광역시 동구 충장로 1가 인근지도보기
주소 변경 이력 광주면사무소 - 광주광역시 동구 문화전당로 35번길 8 지도보기
주소 변경 이력 전라남도 광주시청 - 광주광역시 동구 무등로 314 지도보기
현 소재지 광주광역시청 - 광주광역시 서구 내방로 111[광주광역시 서구 치평동 1200]지도보기
성격 정부 기관
전화 062-120
홈페이지 https://www.gwangju.go.kr

[정의]

광주광역시 서구 치평동에 있는 광주광역시 관할 지방 자치 행정 기관.

[개설]

광주광역시청은 광역 지방 자치 단체인 광주광역시의 행정 사무를 맡아보는 기관으로, 광주광역시의회에서 결정된 정책을 집행·관리한다.

[설립 목적]

「대한민국 헌법」 제 8장과 「지방자치법」제 2조에 의거, 광주광역시의 행정 및 민원 등 업무를 총괄하고, 주민복지의 증진과 지역의 균형 발전을 위하여 설치되었다.

[변천]

일제강점기인 1910년 9월 30일 광주읍성의 내에 있던 성내면과 성 외에 위치하던 기례방, 공수방, 부동방의 1면 3방을 합쳐 광주면으로 호칭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1913년 2월 광주면사무소가 남문통(충장로 1가)에 있던 전 관찰부 객사 부지에 있던 부속건물 1동을 가청사로 하여 개소하였다. 1921년 광주면사무소 신 청사에 대한 신축계획이 수립되어, 1924년 12월 20일 서광산정 28번지(광산동 100번지[광주광역시 동구 문화전당로 35번길 8])에 준공·이전하였다. 이 건물은 이후 1943년 증축하여 사용하다가 1945년 광복 후 또 한 차례 증축되었다. 이후 이 건물은 1969년 광주시청사가 계림동으로 이전하게 되면서 개인들에게 분할매각하여 없어지고 말았다.

1960년대에 들어 광주시의 인구증가 및 그에 따른 행정조직의 확대, 구도심의 입지적 한계에 따른 확장 불가의 문제와 더불어 광주시가 소유하고 있던 경양방죽을 매립하여 도시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는 점 등이 계림동 신 청사 건립의 주요 배경이 되었다. 따라서 근방의 태봉산(전남대 앞 모아아파트)를 헐어 흙을 확보하여 경양방죽을 매립하였고, 1969년 10월 1일 계림동(광주광역시 동구 무등로 314)에 지하 1층, 지상 3층으로 준공되었다. 그 후 1989년 광주직할시 청사가 되면서 기존 3층을 5층으로 증축하였고, 1991년 7층으로 또 한 번 증축하였다.

1990년대 들어 광주에 도시공간구조의 변화 및 인구변화가 일어나게 되면서 새로운 택지개발이 이뤄지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상무대에 주둔하던 군 부대가 전라남도 장성으로 이전하게 되면서 상무지구라고 불리는 상무대 신도시계획이 수립되었고, 이 공간의 효율적인 개발을 위해 많은 공공기관들의 이전 계획이 수립되었다. 특히나 광주시가 1986년 광주직할시로 승격되면서 새로운 청사에 대한 필요성 역시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1995년 '신 시청사 계획'이 수립되어 1999년 착공되었고, 2004년 3월 30일 신청사 개청식을 열면서 계림동 시대를 마감하고 광주광역시 서구 치평동에 들어서게 되었다.

광주광역시청의 관할구역은 다음과 같다. 1910년 1면 3방(성내면, 기례방·공수방·부동방)을 합병한 광주면에서 1935년 광주부 당시 41개정으로 확장되었다. 이후 1949년 광주시가 되면서 두 차례 행정구역 변경이 있었고, 1963년 서창·대촌출장소가 광산군으로 환원되어 6개 출장소·45개동이 되었다. 1966년 계림1구·월산동·효죽동의 3개동을 분동하여 48개동이 되었고, 1970년 산수2동·서석2동·학3동 등 10개동을 분동하여 총 58개동이 되었다. 1973년 종래의 4개 출장소를 폐지하고 석곡·지산의 2개 출장소만 존치시키는 한편 동구서구로 나누는 구제(區制)를 실시하였다. 1980년 4월 1일 석곡·지산 2개 출장소를 폐지하고 북구를 신설하여 3개구로 운영하다가 1986년 11월 1일 네번째로 직할시로 승격되었다. 이 때 당시 관할구역은 3구 72개동이었다. 이후 1988년 1월 1일 송정시와 광산군 전역이 광주직할시에 편입되어 4구 83동 9출장소를 관할하게 되었다. 이후 1995년 광주광역시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그 해 3월 1일 서구에서 남구가 분구되어 2021년에 이르고 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광주광역시의 행정 구역 관리, 조례와 규칙의 제정, 예산의 편성과 집행, 지방세 부과와 징수, 국가 재산의 관리, 호적과 주민등록 관리, 복지 및 위생사업, 환경보호와 개선, 산업 진흥, 지역 개발, 재난 안전 관리 등의 행정 및 민원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2021년 기준, '광주, 대한민국 미래로!'라는 시정 구호와 '정의롭고 풍요로운 광주'라는 시정목표 하에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경제 광주, 정의로운 의향 광주, 따뜻한 복지 광주, 품격 있는 문화 광주, 시민이 편안한 안전 광주, 변화하고 도전하는 혁신 광주 등의 정책방향을 제시하며 사업을 수행해가고 있다.

[현황]

2021년 기준 총 4실·8국·2본부, 9관·6담당관·56과, 총 공무원 3,939명으로 조직이 구성되어 있다.

산하 직속기관으로 공무원교육원, 보건환경연구원, 농업기술센터, 소방학교, 동부소방서, 서부소방서, 남부소방서, 북부소방서, 광산소방서 등이 있으며, 사업소로 상수도사업본부, 종합건설본부, 도시철도건설본부, 시립도서관, 시립미술관, 문화예술회관, 푸른도시사업소, 광주역사민속박물관, 서부농수산물도매시장관리사무소, 5·18민주화운동기록관, 일가정양립지원본부, 서울본부, 5·18기념문화센터, 각화동농산물도매시장관리사무소, 우치공원관리사무소, 김치타운관리사무소가 있다.

의회사무처로 의정담당관, 홍보소통담당관, 입법정책담당관, 운영수석전문위원, 행정자치전문위원, 환경복지전문위원, 산업건설전문위원, 교육문화전문위원, 특별전문위원이 있으며, 합의제 행정기관으로 광주광역시감사위원회, 출장소로 광주경제자유구역청이 있다.

광주광역시청은 2021년 기준 5개 자치구 95개 행정동을 관할하고 있다.

[참고문헌]
  • 박선호, 『광주 1백년』(심미안, 2012)
  • 광주광역시(https://www.gwangju.go.kr/index.jsp)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