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1326
한자 新昌洞-
영어공식명칭 Maegyeol Dolmen in Sinchang-dong
이칭/별칭 광주 신창동 매결 지석묘,광주 신창동 지석묘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고분
지역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창동 152-9
시대 선사/청동기
집필자 강진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95년 2월 18일~3월 10일 - 신창동 매결 고인돌 지표 조사
발굴 조사 시기/일시 2002년 4월 25일~6월 24일 - 신창동 매결 고인돌 호남문화재연구원에서 발굴 조사
성격 분묘
양식 고인돌|석관묘
크기(높이,지름) 1호: 255㎝[길이]|185㎝[너비]|100㎝[두께]

[정의]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창동에 있던 청동기시대 고인돌.

[위치]

신창동 매결 고인돌광주광역시 광산구 신창동 북서-남동 방향으로 뻗은 구릉 남쪽 사면에 있었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1995년 실시된 지표 조사에서 신창동 매결 고인돌 1기가 확인되었다. 2002년에는 신창동 택지 개발과 관련하여 호남문화재연구원에 의해 고인돌 1기와 석관묘 4기에 대한 발굴 조사가 이루어졌다.

[형태]

조사된 유구 가운데 가장 높은 곳에 덮개돌이 있는 고인돌이 있고, 낮은 곳에는 석관묘 4기가 분포하였다. 고인돌에는 굄돌 3매가 있었으며, 석곽이나 석관은 확인되지 않았다. 석관묘 4기 장축 방향은 동서 방향으로 등고선과 나란히 배치되었다. 유구 간 일정한 거리를 두었으며, 축조 방식에서 차이를 보였다. 석관묘의 규모는 154~190㎝×36~64㎝×28~35㎝ 정도이며, 출토된 유물은 없다.

[출토 유물]

1호 고인돌 하부에 삼국시대 토광묘가 있으며, 토광묘 내 동쪽 부근에서 삼국시대 관련 토기가 출토되었다.

[현황]

신창동 매결 고인돌은 발굴 조사가 완료된 후 신창동 역사문화공원으로 이전·복원되었으며, 고인돌이 있던 자리에는 택지가 조성되었다.

[의의와 평가]

신창동 매결 고인돌은 고인돌과 석관묘가 동일 지역에 분포하는 중요한 유적이다. 영산강 상류 지역에 송국리 묘제 중 하나인 석관묘가 조사된 점에서 송국리 문화의 유입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 또한, 1호 고인돌 하부에 있는 삼국시대 토광묘를 통해 재사용된 고인돌 사례를 확인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