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산구 장애인복지관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3039
한자 光山區障礙人福祉館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지명/시설
지역 광주광역시 광산구 무진대로 276[우산동 1595-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정용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관|개장 시기/일시 2003년 3월 7일연표보기 - 광산구 장애인복지관 설립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5년 11월 16일 - 광산구 장애인복지관 증축 완공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4년 1월 1일 - 광산구 장애인복지관, 광산구청 직접 운영체제 전환
최초 설립지 광산구 장애인복지관 - 광주광역시 광산구 무진대로 276[우산동 1595-1]
현 소재지 광산구 장애인복지관 - 광주광역시 광산구 무진대로 276[우산동 1595-1]지도보기
성격 복지 시설
면적 1,836.45㎡[건물 555.4평]|1,205.2㎡[대지 365평]
전화 062-943-0420
홈페이지 광산구 장애인복지관(http://www.gsrc.or.kr)

[정의]

광주광역시 광산구 우산동에 있는 장애인들의 지원과 권익 보호를 위한 복지 시설.

[개설]

광산구 장애인복지관은 직업 및 사회적 자원 등을 통해 장애인들의 자립 능력과 기능을 향상시키며, 장애인들의 권익을 보호하고 지역 공동체에 기여하고자 설립된 재활 복지 시설이다. 광산구청이 직접 운영하고 있다.

[건립 경위]

광산구 장애인복지관은 장애인들의 재활과 자립, 사회 참여와 통합 등을 지원하고, 장애인들에 대한 인식 개선과 권익 증진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광산구 내에서 장애인 복지 서비스의 허브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변천]

광산구 장애인복지관은 2003년 3월 7일에 설립되었다. 2005년 11월 16일 복지관의 시설을 3층에서 4층으로 증축하였으며, 2005년에는 재가복지봉사센터와 다기능정보이용센터를, 2006년에는 광산구 장애인복지관 부설 바라밀어린이집을 개원하였다. 이후 꾸준히 복지 프로그램, 재활 치료, 정보화 교육 등의 사업을 전개하였고, 2014년부터 광산구청이 직접 운영을 하게 되면서 지방자치단체 직영 체제로 바뀌었다. 2014년 7월 17일 광산구 장애인취업지원센터를 개소하였으며, 2016년에는 행정전산망을 설치하였고, 건축설비와 기계설비를 공사하면서 기능 보강사업을 진행하였다. 2017년 9월 4일 기획홍보팀을 신설하여 기존의 5개팀에서 6개팀으로 조직이 개편되었으며, 2018년 12월 31일 사회서비스 재활센터를 매입하였다. 광산구청이 직접 운영한 이후 꾸준히 각종 사업과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현재에 이르고 있다.

[구성]

광산구 장애인복지관은 관장, 사무국장, 사회복지사, 특수교사, 물리재활사, 언어재활사, 심리재활사, 작업치료사, 장애인재활상담사, 시설관리, 영양사, 조리사 등이 근무하고 있다. 조직은 10명의 위원으로 구성된 운영위원회와 인사위원회가 있고, 관장과 사무국장 관할 아래 개별화지원팀, 직업지원팀, 평생교육팀, 마을복지팀, 운영지원팀, 기획홍보팀의 6개 팀과 직업평가센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황]

광산구 장애인복지관광주광역시 광산구청이 직접 운영함으로써 지역사회 장애인 복지 증진에 지방행정단체가 직접 앞장서고 있다. 또한, 종합적인 지원사업을 통해 장애인들의 권익을 증진시키고 사회 참여를 활성화시키는 등 지역사회 재활시설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을 뿐 아니라 지역 공동체와 복지 관련 기관과의 연대를 통해 광산구 복지시설의 허브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광산구 장애인복지관의 세부 활동을 살펴보면, 장애인의 자립 능력과 기능 향상을 위한 자립 지원사업과 기능 향상 지원사업, 구직자에게 필요한 정보와 일자리 제공을 통해 사회 참여를 유도시키는 직업 지원사업과 직업평가센터 운영, 장애인 가족에 필요한 교육 프로그램 이외에도 문화·예술·레포츠 등의 여가를 지원하는 평생교육사업, 재가 복지사업과 마을 지향 복지사업이 주가 되는 마을복지사업, 이외에도 사회자원 개발 및 활용사업, 연구개발사업, 사회서비스사업 등 장애인에게 필요한 사업들을 전개하고 있으며, 지역사회 내 유관 기관 및 단체와의 교류와 협력을 통해 지역사회 장애인 복지시설의 중심 역할을 맡고 있다. 그리고 나눔행사, 문화체험 등을 통해 장애인뿐 아니라 지역 공동체에도 함께 기여하고 있다. 2020년에는 국제 NGO 단체인 세이브더칠드런과 협약을 통해 장애아동 놀이공간을 조성하는 등 시설 규모의 확장뿐 아니라 장애아동의 권익 증진에도 힘쓰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