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0352
한자 光州松汀驛
영어공식명칭 Gwangju Songjeong Station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시설
지역 광주광역시 광산구 상무대로 201-99[송정동 1003-12]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윤희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관|개장 시기/일시 2008년 4월 11일연표보기 - 송정리역 개통
개칭 시기/일시 2013년 7월 25일연표보기 - 송정리역에서 광주송정역으로 개칭
최초 설립지 광주송정역[지하철역] - 광주광역시 광산구 상무대로 지하 201-99[송정동 1003-12]
현 소재지 광주송정역[지하철역] - 광주광역시 광산구 상무대로 지하 201-99[송정동 1003-12]지도보기
성격 도시철도역

[정의]

광주광역시 광산구 송정동에 있는 광주도시철도1호선 역.

[개설]

광주송정역[철도] 인근에 자리한 도시철도역으로, 송정이라는 이름은 마을 지형이 마치 가마솥 같다 하여 솥머리[鼎頭]라고 하다가 솔머리로 변모하였고, 한자로는 소촌(素村)이 다시 송정으로 변경되었다. 일찍이 솔밭을 개척하여 농사를 짓던 농촌이었는데, 1913년 호남선 철도역이 생기면서 역전 시가지가 되었다. 일본인 상인과 실업인들이 정착하였고 동양척식주식회사 곡물창고가 들어섰다. 광복 후에도 광주의 관문으로 기능을 유지하였으며, 특히 6.25전쟁 이후 상무대 발전에 따라 군(軍) 수송역으로 유명하였다.

[변천]

2009년 4월에 개명한 한국철도공사 광주송정역과 달리 '송정리'라는 역명을 유지하고 있었으나, 2013년 7월 25일에 광주송정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구성]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 있는 지하역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내부 편의시설로는 화장실 2곳, 자판기 2대, 물품보관함 1곳, 위생용품 자판기 1대, 무료신문 배포대 3개가 구비되어 있다. 스마트폰 충전기는 녹동역을 제외한 전 역사에 설치되어 있다.

[현황]

광주도시철도1호선 광주송정역은 2008년 53만 9412명에서 계속 이용자의 수가 증가해, 2019년 174만 3962명으로 가장 많았다. 특히 KTX 광주송정역과 연계하는 역이기 때문에 이용자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2020년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영향으로 114만 6090명이 이용하였다. 광주도시철도1호선 역사는 다양한 주제를 선정해 테마역으로 운영 중에 있다. 광주송정역은 국창 임방울 국악전시관을 운영하면서 임방울 일대기 조명 및 영상, 국악체험 등을 시행하고 있다. 광주송정역[지하철역]은 KTX 광주송정역과 지상으로 연결되어 있고, 철도와 지하철을 연계하는 교통망 구성으로 이용자의 편의 증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인근에는 1913 송정역시장, 송정5일시장이 있으며, 먹거리로는 떡갈비 거리가 조성되어 전국적으로 유명한 곳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