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1407
한자 伏龍祠遺墟碑
분야 역사/근현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광주광역시 북구 생용동 314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희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920년연표보기 - 복룡사유허비 건립
현 소재지 복룡사유허비 - 광주광역시 북구 생용동 314 지도보기
성격 유허비
양식 석비
관련 인물 범세동
재질 석재
소유자 금성범씨 종중
관리자 금성범씨 종중

[정의]

광주광역시 광산구 생용동 생용마을에 있는 복룡사 유허비.

[개설]

복룡사(伏龍祠)는 범세동(范世東), 범가용(范可容), 범천배(范天培), 범기생(范起生), 범기봉(范起鳳)을 배향한 곳이다. 범세동의 자는 여명(汝明), 호는 복애(伏崖), 본관은 금성(錦城)이다. 1369년(고려 공민왕 18) 과거에 합격하여 간의대부(諫議大夫) 등을 지냈다. 조선이 건국되자 절의를 지키고 두문동에 은거하였다가 전라도 나주[지금의 광주광역시 광산구 덕림동]로 돌아왔다. 『화해사전(華海師全)』과 『화동인물총기(話東人物叢記)』를 저술하였다. 유허비에는 배향 인물의 행적을 기록하였다. 후손 범형식(范瀅植)과 범희덕(范熙德)이 비문을 요청하여 1912년에 신두선(申斗善)이 지었다.

[건립 경위]

1920년 3월 금성범씨(錦城范氏) 종중에서 복룡사 유허비를 세우고 비각을 건립하였다.

[위치]

광주광역시 북구 생용동 생용마을 용호재(龍湖齋) 입구에 있다.

[형태]

비각은 사방 1칸으로 정평주초(定平柱礎) 위에 평주를 세워 3량집으로 만들어졌다. 지방은 골기와 팔작지붕으로 되어 있다.

[금석문]

앞면에 큰 글자로 복애범선생복룡사유허비(伏崖范先生伏龍祠遺墟碑)라 새겼다.

[현황]

앞면에 비제를 새기고 다른 면에 한문체 비문을 새겼다. 비문은 1912년 초여름에 신두선이 지었다.

[의의와 평가]

고려시대 인물로 『화해사전』 등 저술을 남기고 절의를 지킨 범세동을 배향하는 복룡사의 유허에 세운 비로, 역사 인물의 선양과 추숭활동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