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강릉 보현사 목조보살좌상과 복장유물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305292
한자 江陵普賢寺木造菩薩坐像-腹臟遺物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물/불상
지역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보현길 396[보광리 1171] 보현사
시대 고려/고려 후기
집필자 임호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2015년 3월 6일 연표보기 - 강릉 보현사 목조보살좌상과 복장유물,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73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강릉 보현사 목조보살좌상과 복장유물, 강원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
현 소장처 강릉 보현사 목조보살좌상과 복장유물 - 강릉시 성산면 보현길 396[보광리 1171]
출토|발견지 강릉 보현사 - 강릉시 성산면 보현길 396[보광리 1171]
복장유물 소장처 강릉 보현사 - 강릉시 성산면 보현길 396[보광리 1171]
성격 불상|복장유물
재질 목재|종이|천
소유자 강릉 보현사
관리자 강릉 보현사
문화재 지정번호 강원도 유형문화재

[정의]

강원도 강릉시 보현사에 소장되어 있는 고려 시대의 목조보살좌상과 복장유물.

[개설]

고려 시대 제작된 불상으로 제작 시기는 복장 다라니 조성 연대인 1292년(충렬왕 18) 보다 앞선 11~12세기로 추정된다. 2015년 3월 6일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73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강원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형태]

강릉 보현사 목조보살좌상은 목재로 만들었으며, 그 위에 금칠을 하여 화려하다. 세장형의 신체에 어깨가 다소 숙여진 모습이며 얼굴은 길고 갸름한 계란형이고, 목 부분에는 삼도가 새겨져 있다. 좌대는 원형으로 특별한 문양이 없다. 머리는 머리카락을 묶은 보계가 높이 솟은 형태이며 불꽃무늬 장식이 세워진 입형과 정교하고 화려한 꽃무늬가 복잡하게 새겨진 삼산 보관형의 금동관을 쓰고 있다.

법의는 대의(大衣)를 통견(通肩)으로 입고 안에는 상의를 걸친 2중 착의법으로 왼쪽 어깨에는 대의 자락을 반달형으로 걸쳤고, 가사를 묶은 정교한 꽃무늬 모양의 가사 고리와 끝에는 심엽형 고리 장식이 달려있는데, 이 고리 장식은 고식(古式)에 속하는 희귀 장식으로 보여 진다.

가슴에는 승각기의 표현이 없고, 복부에는 군의로 생각되는 내의를 입고 있는데, 상단은 3단 주름이고 그 아래 옷 주름은 나비매듭 띠 묶음 형식으로 표현되었다. 복장유물은 한지에 쓴 묘법연화경과 무명에 쓴 사발 모양으로 새겨진 다라니가 출토되었다. 복장유물은 각각 황금색 비단 보자기와 남색 보자기에 싸여진 형태로 출토되었다.

[특징]

강릉 보현사 목조보살좌상은 조각 수법이 우수하고, 1292년명 다라니와 묘법연화경, 후령통 등의 복장유물이 함께 확인되었다.

[의의와 평가]

고려 시대 강원 영동 지방의 목재 조각 기법, 보살 좌상의 모습 등은 고려 시대 강원 영동 지방 불교 미술사 연구에 소중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 문화재청 문화유산 정보(http://www.cha.go.kr)
  • 강릉시청 관광(http://culture.gn.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