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옥단타령」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302662
한자 玉丹-
영어의미역 Song of Okdan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강원도 강릉시
집필자 김선풍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전설요

[정의]

강릉 지방 전설요(傳說謠)의 하나.

[개설]

전설요는 전설·민담 내지 고소설에서 유래한 민요를 말한다. 「옥단타령」은 저작 연대나 작가가 분명치 않고, 그것이 작품화되기 전에는 일종의 전설로만 유포되어 있었으나 일부는 민요화 되어 퍼져 나갔다. 「춘향전」에서 나온 「소춘향가(小春香歌)」·「사랑가」·「집장가(執杖歌)」·「옥중가(獄中歌)」 등이나, 「심청전」에서 나온 「화초가(花草歌)」·「심황후사친가(沈皇后思親歌)」 등도 그러하다.

[채록/수집상황]

김선풍(金善豊)이 1979년 강릉시 임당동 노인회관에서 박기동[남·71]에게서 채록한 「옥단타령」이다.

[가사]

좋구나 매화로다

안방건너방 가로닫이

국화사북에 완자문이란다

좋구나 매화로다

어허야~데헤야 에허이야

나~어이허라 어라

두견이 울었다

사령두 매화로다

어저께밤에도 나가자구

그저께밤에도 구경가구

무삼염차로 삼선보산에

볼받어 달라느냐

좋구나 매화로다

[내용]

개성 지방 「옥단타령」옥단춘이 과거에 급제하고 성공해 돌아온다던 낭군 이혈룡(李血龍)을 기다리는 비가(悲歌)이어서 전설적 서사성이 남아 있으나, 강릉 지방의 「옥단타령」은 주인공 옥단춘은 나오지 않고 다분히 「매화타령」류의 속요체에 가까운 민요로 나타난다.

[의의와 평가]

강릉 지방 민요에 등장한 옥단춘(玉丹春)은 고소설 「옥단춘전」의 주인공으로 숙종조의 평양 명기(名妓)이다. 대구광역시 군위군(軍威郡) 소보면(召保面) 민요에는 "감단춘"·"만단춘"·"옥당춘" 등으로 나오는데, "옥단춘"의 와전이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1.12.19 2011 한자 최종 검토 한자항목명 옥단타령 ->한자항목명 玉丹打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