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양미리조림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302444
영어공식명칭 Sand eel boiled in soy with spices
영어음역 yangmiri jorim
영어의미역 braised sand eel
이칭/별칭 야미리조림,앵매리조림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음식물/음식물
지역 강원도 강릉시
집필자 황재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음식물
유래지 강원도 강릉시
재료 양미리|식용유|다시마|간장|고춧가루|설탕|깨소금|마늘|대파|생강
관련의례/행사 일상식
계절 10~12월 사이에 주로 어획.

[정의]

강릉 지역에서 양미리를 양념간장에 조린 음식.

[개설]

양미리는 농어목 까나리과 양미리속의 어류로 우리나라의 동해안과 일본, 사할린섬, 오호츠크해 등에 분포한다. 몸길이가 약 9㎝로 겉모양은 까나리와 비슷하며 몸은 가늘고 길며 옆으로 납작하다. 주둥이가 뾰족하고 아래턱이 튀어나와 있으며 양 턱에는 이빨이 없다. 몸의 등 쪽은 갈색이며 배 쪽은 은백색이고 아가미뚜껑에는 흰색 반점이 있다. 연안의 약간 깊은 곳에서 무리를 지어 서식하며 작은 갑각류 등을 먹고 산다.

[연원]

조림요리는 『증보산림경제(增補山林經濟)』에 처음으로 기록되었고 그 조림법은 홍어조(洪魚條)에서 ‘저며 썰어서 감장(甘醬)즙에 조려 쓴다.’고 되어 있고 메기조[鮎魚條]에는 ‘감장즙에 끓인다.’라고 되어 있다.

[변천]

『임원십육지(林園十六志)』에는 육장법과 어장법이 수록되어 있고 『규합총서(閨閤叢書)』에는 언급된 바가 없는 것으로 미루어 조림요리는 늦게 보급되었던 것 같다. 1700년대 조선시대 조리서에 조림이 보이지 않다가 『옹희잡지(饔饎雜志)』에 육장방(동국육장법)이 나오는데 중국에서 고기를 생선젓갈처럼 발효시킨 것을 육장법이라고 소개하고 있다. 『시의전서(是議全書)』에 비로소 장조림법에 조림이란 말이 나타난다.

[만드는 법]

양미리는 어느 정도 꾸덕꾸덕하게 말린 것으로 준비하여 머리와 꼬리를 다듬고 먹기 좋은 크기로 썰어 둔다. 무는 약 1㎝ 두께로 넙적하게 썰어 놓고 고추와 대파는 어슷어슷하게 썰어 둔다. 간장, 청주, 고춧가루, 후춧가루, 다진 마늘, 생강 등으로 양념장을 만든다. 냄비에 무를 깔고 그 위에 양미리를 올리고 고추와 대파를 올린 후 양념간장을 끼얹은 후 물을 약간 부어 조린다.

[용도]

양미리는 석쇠 또는 프라이팬에 기름을 두르고 굽기도 하며 양미리추어탕, 양미리김치찌개, 양미리볶음으로도 요리할 수 있으며 건조품으로 이용한다.

[효능]

양미리에는 육고기만큼이나 단백질이 풍부하며 등푸른생선으로 불포화지방산인 DHA와 아스파라긴산 등 필수아미노산이 풍부하고 뼈째 먹는 생선이라 칼슘 등의 무기질이 함유되어 있어 성장기 어린이 및 골다공증에 좋다.

[현황]

양미리는 강릉 동해안 지역에서 늦가을부터 겨울에 많이 잡힌다. 예전에 강릉 지역에서는 양미리를 잡을 때 배에 돌을 잔뜩 싣고 나가서 양미리 서식지 위에 돌을 마구 집어 던졌다. 돌이 모래에 떨어지는 충격에 모래 속에 숨어 있던 양미리가 놀라 뛰어나오면 그물을 쳐서 잡았다고 한다. 또한 이 시기에 항구 부둣가에서는 양미리뺏기는 작업(그물에 걸린 양미리를 떼어 내는 작업)이 한창이다. 성어기 마다 양미리의 어획량이 매년 감소하여 어민들은 심각한 어획 부진에 시달리고 있는 실정이지만, 양미리조림은 강릉에서 가장 맛있게 즐길 수 있는 별미 중의 하나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