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301708
한자 百中
영어음역 Baekjung
영어의미역 Buddhist All Soul's Day
이칭/별칭 백중절,백종일,머슴날,망혼일,중원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지역 강원도 강릉시
집필자 장정룡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세시풍속
의례시기/일시 음력 7월 15일

[정의]

강원도 강릉 지역에서 지내는 세시풍속의 한 날인 음력 7월 15일.

[개설]

백중(百中)은 조상을 기리는 날인 동시에 농업생산 활동과 관련되어 있는 날이다. 불교에서는 백 가지 과일을 차리고 망친의 영혼을 제사하는 우란분재를 한다. 농가에서는 집집마다 김매기를 끝낸 기쁨으로 서로 축하하고 음식을 나눠 먹으며 친목을 도모하는 날로 세서회(洗鋤會) 즉 호미씻이를 한다. 백중절, 백종일, 머슴날, 망혼일, 중원 등으로 불린다.

[명칭유래]

백중(百中)은 『열양세시기(冽陽歲時記)』에는 백과(百果)를 가리키는 것 같다고 하였는데, 민간에서는 호미씻이를 하고 나면 발뒤꿈치가 하얗게 되므로 백종(白踵)이라고 하고, 백 가지 씨앗 종자를 갖추었다 하여 백종(百種)이 한다고 하였다.

[연원]

조선 시대 성현(成俔)의 『용재총화(慵齋叢話)』에는 백종(百種)이라 하여 백 가지 종류의 제물을 차려 망친의 영혼을 제사한다고 하였다. 고려가요인 「동동」에도 이날 백 가지 제물을 차려 놓고 임과 함께 저승에서라도 살아가기를 빈다고 하여 망혼일(亡魂日)의 의미가 확연히 드러난다. 불교의 우란분경에는 목련비구가 오미백과를 갖추어 분 안에 넣어서 시방대덕에게 공양하였다고 하고, 도교에서는 중원절 또는 구절(鬼節)이라 한다.

17세기경 장유(張維)는 『계곡집(谿谷集)』에서 ‘농가에서 김매기가 끝나면 남녀노소가 다 같이 모여서 음식을 먹는 세서회를 한다.’고 하였고 우하영(禹夏永)의 『천일록(千一錄)』에서도 ‘산간지대나 변방지대를 막론하여 7월 보름날에는 농가의 남녀가 모여서 음식을 차려 놓고 논다.’고 하여 농가의 명절로 인식되었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강릉에서는 백중에 약수가 여문다고 하여 백중 물맞이로 약수터에 가고 불교 신자들은 우란분재를 지내기 위해 사찰에 간다. 농촌에서는 질먹기라 하여 일꾼들을 위한 잔치를 한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1.12.15 2011 한자 최종 검토 『천일록(千一綠)』에서도 ->『천일록(千一錄)』에서도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