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까치보름날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301042
영어음역 Kkachi Boreumnal
영어의미역 Magpie Full Moon Day
이칭/별칭 작은 보름,늦여름날,소망일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지역 강원도 강릉시
집필자 장정룡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세시풍속
의례시기/일시 음력 정월 14일

[정의]

음력 정월 14일을 일컫는 말.

[개설]

강릉에서는 음력 정월 14일을 까치보름날이라 하여 대보름날과 같이 농사의 풍흉을 점치거나 근검과 나눔의 풍속, 계절금기 등을 다양하게 지켰다.

[명칭유래]

세시풍속상 ‘까치보름’의 ‘까치’는 조류가 아니라 우리말 ‘거짓’ 또는 ‘까지’에서 나온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거짓으로 키를 높이는 ‘까치발’의 용례와 같이 아직까지 진짜 보름이 아닌 ‘거짓보름’이라는 뜻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까치의 색이 까마귀와 달리 희고 검어서 ‘완전하지 않다’는 의미로도 생각되는데, ‘작은보름’, ‘늦여름날’, 한자로는 ‘소망일’(小望日)이라고도 한다. 다른 견해로는 ‘까치설’과 같이 보름전날에 보름날을 기다리는 어린이들에게 그 하루 전날 좋은 소식을 전해준다는 까치의 이름을 붙여 기쁨을 누리게 하려는 어른들의 배려에서 생겨난 것이라고도 말한다.

[연원]

까치보름날은 보름 전날로서 아직까지 보름이 아니라는 뜻으로 보름을 준비하는 날이다. 그러므로 정월보름을 전후하여 명절 풍경을 사계절에 비유하여 13일은 봄날, 14일은 ‘여름날’ 15일은 가을날, 16일은 겨울날 또는 귀신날로 생각하였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마을에서는 저녁에 곡식의 무게를 저울로 달아 똑같은 부피로 놔두었다가 15일 날 새벽에 다시 그 무게를 달아 무거운 곡식이 풍작이라고 믿는다. 또한 매월 비의 양을 점치기 위해 ‘달불금’을 한다. 콩 12개를 수수깡 속에 차례로 넣고 우물물에 불렸다가 다음날 부푼 상태를 보고 어느 달에 비가 많이 올 것인지 미리 알고자 했다. 콩이 많이 부풀면 그 달은 강우량이 많고 그렇지 않으면 그 달은 가뭄이 들 것으로 알았다. 이것을 월자(月滋)라고 했는데 가정에서는 호자(戶滋)라 하여 호구 수대로 콩을 정하여 가장 많이 불은 집이 풍작을 이룰 것으로 점쳤다.

이날 어른들은 모여서 ‘짚신삼기’와 ‘수수빗자루매기’ ‘오곡형상걷기’를 한다. ‘짚신삼기’는 짚신을 많이 만들어 농작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오곡형상걷기’는 풍년을 기원하는 행사다. 즉 수수대의 속 부분으로 오곡의 모습을 만들어 거름에다 하루를 꽂았다가 보름날 타작하는 흉내를 내면 풍년이 든다고 한다. ‘수수빗자루매기’는 수수를 잘 말렸다가 빗자루를 만드는 것인데, 그만큼 부지런해야 한다는 뜻으로 ‘여름날’이라고도 한다. 전하는 속담에 “남자는 14일 낮에 밥 아홉 그릇 먹고, 나무 아홉 짐, 거름 아홉 짐을 해야 하고, 여자는 삼을 아홉 광주리 삼아야 한다.”고 말할 정도로 근면성을 강조하는 날이다.

이날에는 머리를 감지 않고 물도 남에게 주지 않는다. 여름철에 소나기를 맞거나 폭우가 내려 논둑이 무너진다고 믿기 때문이다. 얼굴에 버짐이 많은 아이들에게 이날 분가루를 발라주면 깨끗하게 낫는다고 한다.

[상차림]

까치보름날에는 저녁 해가 지기 전에는 밥을 해먹지 않고 만두국이나 국수를 주로 먹는데, 국수를 먹는 것은 논의 거머리를 없애는 의미라고 한다. 거머리와 국수의 모습을 연상한 주술행위다. 또 설 떡을 만들다가 남은 떡무거리를 잘 보관하였다가 만두국에 함께 끓여 먹으면 맏딸이 시집가서 잘 산다고 한다. 저녁에는 일찍 저녁을 먹는데 그 이유는 추수를 일찍 끝내기를 기원하는 뜻이라 하며 국수를 먹는다.

[현황]

현재는 까치보름날을 잘 지내지 않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