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301060
영어의미역 wooden goose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물품·도구/물품·도구
지역 강원도 강릉시
집필자 이한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혼례물품
재질 나무
용도 전통혼례|전안례

[정의]

강원도 강릉 지역의 전통 혼례에서 전안례(奠雁禮)를 올릴 때 사용한 나무로 만든 기러기.

[개설]

기러기가 갖고 있는 상징성으로 인해 혼례 때 기러기는 길조로서 예물로 주고받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살아 있는 기러기를 사용하기가 어려워지자 차츰 나무로 만든 기러기로 대체한 것으로 보인다.

[연원]

기러기는 조선 후기 여성 교양서인 『규합총서』에 신의, 예의, 절개, 지혜를 상징하는 날짐승으로 그려져 있다. 추우면 남으로 오고 더우면 북으로 가니 신의가 있고, 날 때부터 차례가 있고 날 때 선두와 후미가 상응하므로 예의가 있고, 홀로 되어도 짝을 구하지 않으니 절개가 있고, 또 밤에는 보초를 세우니 지혜가 있다는 것이다.

[변천]

혼례에 사용하는 나무기러기는 직접 만들거나 구하기도 하지만, 보통은 마을단위로 공동으로 사용하는 혼례물품이 있어 이것을 일정 금액을 지불하고 빌려 사용했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서민들은 마을에 공동으로 사용하는 혼례물품이 있어 일정 금액을 지불하고 빌려서 혼례 때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용도]

본시 나무기러기는 친영례를 행할 때 신랑 집안의 어른 중에서 한 사람이 들고 신부집으로 가 신부집 사람을 통하여 신부의 부모에게 전해드린다. 신부의 부모는 집안의 웃어른들과 좌정한 가운데 신랑의 배례를 받는데, 이때 신랑이 신부의 양친에게 나무기러기를 드리는 예가 전안례다. 전안례를 올린 후 신부의 어머니가 치마폭에 나무기러기를 안고 신부가 있는 방안으로 던지는데, 이때 나무기러기가 서면 아들을 낳고 누우면 첫딸을 낳는다는 속신도 전한다.

[현황]

관동대학교 박물관에 조선말기의 유물 1점이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