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200521
한자 大東地志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서울특별시 동작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정주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술 시기/일시 1866년(고종 3)연표보기 - 『대동지지』 편찬 완료
간행 시기/일시 1932년연표보기 - 『대동지지』 간행
소장처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소장처 고려대학교 도서관 -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로 145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
성격 지리지
저자 김정호
간행자 최남선
권책 32권 15책
규격 가로 27.2㎝|세로 19.3㎝

[정의]

서울특별시 동작구의 노량진을 교통의 요지로 기록한 조선 후기의 지리지.

[개설]

『대동지지(大東地志)』는 조선 후기 김정호(金正浩)가 편찬한 역사지리지로서 32권 15책으로 구성되었다. 1861년(철종 12) 김정호는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를 완성한 후 『대동지지』 편찬에 착수하여 1866년(고종 3) 이후까지 편찬을 계속해 완성한 지리지이다.

[저자]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로 잘 알려진 김정호가 『대동지지』의 저자이다. 생몰년은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은 김정호의 자는 백원(伯元)·백온(伯溫)·백지(伯之)이며, 호는 고산자(古山子)이다. 조선 후기 지도 제작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김정호는 『대동여지도』와 『대동지지』 이외에도 『동여도지』, 『여도비지』, 『청구도(靑邱圖)』와 같은 지도 및 지리지를 제작하였다.

[편찬/간행 경위]

『동여도지(東輿圖志)』를 혼자 편찬하고, 최성환과 함께 『여도비지(輿圖備誌)』를 편찬하였던 김정호는 『동여도지』와 『여도비지』를 종합하여 1863년에 『대동지지』를 편찬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김정호는 자신이 편찬하였던 다수의 지리지를 토대로 하여 『청구도』 및 『대동여지도』와 같은 지도도 제작하였다.

[형태/서지]

『대동지지』는 2020년 현재 32권 15책으로 전해지고 있고 최남선(崔南善)이 소장하고 있던 필사본을 저본으로 하여 1932년에 필사한 것이다. 규격은 가로 27.2㎝, 세로 19.3㎝ 크기로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고려대학교 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구성/내용]

필사본으로 전해지고 있는 『대동지지』는 본래 총 32권 15책으로 구성되었다.

『대동지지』는 「총목(總目)」, 「문목(門目)」, 「인용 서목(引用書目)」으로 짜인 앞부분, 각도 지지(各道地志)인 권1~24는 경도(京都) 및 한성부(漢城府)가 1권, 경기도가 2~4권, 충청도가 5~6권, 경상도가 7~10권, 전라도가 11~14권, 강원도가 15~16권, 황해도가 17~18권, 함경도가 19~20권, 평안도가 21~24권까지 수록되어 있다. 하천에 관한 「산수고(山水考)」와 국경 방어에 관련한 「변방고(邊方考)」는 권25·26, 한양에서 전국 주요 지점까지의 거리 정보에 관련된 「정리고(程里考)」는 권27·28, 우리나라의 역사를 총 정리한 「방여총지」가 권29~32로 구성되어 있다. 다만 변방고의 내용은 2020년 현재의 필사본에는 수록되어 있지 않다

『대동지지』에는 10대 간선로 중 서울에서 경상북도 봉화군으로 가는 교통로를 제시하고 있는데, 이는 봉화군의 태백산에 설치된 태백산사고(太白山史庫)까지 내왕하기 위해 만들어진 도로로 볼 수 있다. 이들 도로 중에서 노량진으로 연결되는 도로는 다섯 도로의 출발 길목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노량진이 교통의 요지였던 것으로 확인 가능한 지리지이다.

[의의와 평가]

『대동지지』는 개인이 편찬한 사찬(私撰) 지리지로서 당대 지리지 편찬의 방향성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다. 방대한 영역의 자료를 참고하여 당시 각 지역의 상황을 분석하고 역사를 인식하였다. 또한 『대동지지』에 기술된 각종 지리적 정보들은 이후 지도 및 지리지 제작에 기초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였다.

특히 『대동지지』에 수록된 동작구의 노량진은 당시 교통의 요지였던 것으로 확인이 가능하며 강을 이용한 운송형태는 1899년 제물포에서 노량진까지의 경인철도 부설에 의해 급격한 쇠락의 길을 걷게 되었다. 그럼에도 『대동지지』를 통해 노량진을 경유하는 도로 등이 기록으로 남아 있어 동작구의 19세기 중반과 후반의 역사지리적 상황을 파악하는 데 귀중한 자료로 이용되고 있다.

[참고문헌]
  • 『대동지지』 1(이회문화사, 2004)
  • 『동작구지』 (서울특별시 동작구, 1994)
  •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http://kyu.snu.ac.kr)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s://encykorea.aks.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