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구개음화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6294
한자 口蓋音化
영어공식명칭 Palatalization
이칭/별칭 입천장소리되기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언어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갑진

[정의]

대구 지역의 방언에서 구개음이 아닌 자음이 구개음으로 바뀌는 음운현상.

[개설]

대구 방언에서 구개음화(口蓋音化)는 'ㅣ' 모음이나 반모음 'j' 앞에서 'ㄷ, ㅌ'이 'ㅈ, ㅊ'으로, 'ㄱ'이 'ㅈ'으로, 'ㅎ'이 'ㅅ'으로 바뀌는 형태로 나타난다. 발음될 때 관여하는 조음기관의 거리가 먼 두 음이 조음되면 전설면과 경구개 사이가 좁아져서 자음이 구개음으로 바뀐다. 동화의 한 종류인 구개음화는 ㄷ구개음화, ㄱ구개음화, ㅎ구개음화로 나눌 수 있다. 세 가지 구개음화에는 각각 차이점이 있다. ㄷ구개음화는 표준어로 인정되며 형태소 경계 사이에서 일어나는 데 반하여, ㄱ구개음화와 ㅎ구개음화는 어두에 놓인 자음에만 적용되며, 형태소 경계 사이에서는 일어나지 않고 표준어로 인정되지 않는다. 대구 방언에서 특별히 관찰되는 것은 ㄱ구개음화와 ㅎ구개음화이다.

[사례]

1) ㄷ구개음화

해돋이 〉 해도지

맏이 〉 마지

굳이 〉 구지

같이 〉 가치

2) ㄱ구개음화

기둥 〉지둥

겨드랑 〉 저드랑

길 〉질

기름 〉지름

기미 〉 지미

끼다 〉 찌다

3) ㅎ구개음화

형님 〉성님

혓바닥 〉쎗바닥

힘 〉심

흉악하다 〉 숭악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