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대구국제공항 활성화 정책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3186
한자 大邱國際空港 活成化 政策
영어공식명칭 Daegu International Airport Revitalization Policy
분야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임재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61년 4월 - 부산비행장 대구출장소 설치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61년 4월 - 서울-대구 국내선 최초 취항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62년 12월 - 대한항공 취항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70년 1월 - 여객 청사 개관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80년 1월 - 대구-제주 취항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89년 10월 - 아시아나항공 취항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1년 12월 - 국내선 여객 청사 확장 준공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6년 2월 - 국제선 오사카 정기노선 취항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1년 4월 - 동방항공 중국 상하이 정기노선 취항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1년 5월 - 대구공항 신청사 개관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2년 5월 - 남방항공 중국 선양 정기노선 취항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4년 3월 - 저비용항공사 티웨이 항공 취항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4년 7월 - 저비용항공사 제주항공 취항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4년 9월 - 중국인 단체 관광객 무비자 환승 공항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5년 - 국제선 노선 증설[상하이, 베이징, 선양] 및 신설[오사카, 괌]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5년 - 항공 여객 연 203만 명 달성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6년 - 국제선 노선 신설[도쿄, 후쿠오카, 타이베이, 산야, 홍콩, 세부]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6년 - 저비용항공사 취항[타이거에어, 에어부산]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6년 - 항공 여객 연 250만 명 달성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7년 - 국제선 노선 신설[오키나와, 다낭, 방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7년 - 여객 터미널 주차빌딩 신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7년 - 공항 경우 시외버스 노선 개시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7년 - 김포노선 운항 재개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7년 - 항공 여객 연 350만 명 달성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8년 - 국제선 노선 신설[블라디보스토크, 하바롭스크, 하노이, 구마모토, 가고시마, 마카오]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8년 - 저비용항공사 취항[비엣젯에어]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8년 - 국제선 신규 취항에 따른 인센티브 지원 재정지원 조례 개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8년 - 항공 여객 연 406만 명 달성

[정의]

대구광역시의 대구국제공항 활성화를 위하여 추진하는 정책.

[개설]

대구광역시는 대구국제공항 활성화를 위하여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문화 공항 브랜드 홍보, 국제선 개설 확대, 국내선 추가 개설과 저비용항공사의 대구 취항, 야간 운항 통제 시간 3시간 단축, 중국 관광객 무비자 환승 공항 지정 등 정책으로 대구국제공항 활성화를 지원하고 있다.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하여 대구국제공항이 국내선 추가 개설을 강화하고 있으며, 한국공항공사 및 대구 취항 항공사 등과 협력하여 기존 대구-제주 노선 외에 대구-김포, 대구-양양 노선을 추가 개설하였다. 기존 주 242편의 제주노선과 주 40편 김포노선 및 주 6편 양양노선을 확충하였다. 저비용항공사[LCC] 진에어가 B737-800[189석] 1대를 투입하여, 대구-제주 부정기 노선[일 4회, 주 28회] 운항을 시작하였다. 2020년 한·일 무역 갈등과 코로나19 등으로 인하여 대구국제공항 이용객이 감소하였지만 진에어의 신규 취항으로, 2020년 5월 기준 주 219편이 운항되던 대구-제주 노선이 주 275편으로 증가하였다.

웃는얼굴아트센터[현 달서아트센터]와 수성아트피아의 ‘찾아가는 콘서트’ 형식의 ‘대구공항 로비 음악회’ 와 각종 갈라콘서트, 버스킹 등을 유치하여 문화 공항으로서의 공항 브랜드 가치도 높이고 있다. 또한 국제선 활성화 정책을 적극 추진하고 있으며, 지역 경제 및 비즈니스 활성화, 유입 관광객 확대 등에 기여하는 ‘정책 노선’ 개념을 도입하였다. 국제선 신설 항공사에 대해서도 행정적·재정적으로 적극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 일본 나고야·히로시마, 대만 가오슝, 중국 칭다오, 베트남 호치민, 필리핀 마닐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조호르바루 등 8개 노선이 대상이다. 재정 지원 대상 기준 탑승률도 왕복 75% 미만에서 70% 미만으로 하향 조정하였다.

[연혁]

1961년 4월, 부산비행장 대구출장소가 설치되었다. 국내선 최초의 대구-서울 간 취항이다. 1962년 12월 대한항공이 취항하였으며, 1970년 1월 여객 청사를 개관하였다. 1980년 1월 대구-제주 취항이 이루어졌으며, 1989년 10월 아시아나항공이 취항하였다. 1990년 6월부터 한국공항공사 대구지사에서 관리 운영을 시작하였다. 1991년 12월 국내선 여객 청사가 확장 준공되었다. 대구국제공항은 국제선으로는 1994년 8월 대한항공 국제선 전세기가 대구-후쿠오카 간 노선을 개설한 뒤, 1995년 1월 아시아나항공도 같은 노선을 운항하기 시작하였다. 1996년 2월에는 부산을 경유하는 대구-오사카 간 정기노선이 개설되었다. 2001년 4월 동방항공이 중국 상하이에 정기노선을 취항하였다. 2001년 5월 878억 원을 들여 대구공항 신청사를 개관하였으며, 2002년 5월 대구국제공항이 개항지로 지정되었고, 중국 선양에 남방항공의 정기노선이 취항하며, 호텔에어포트를 개관하였다. 2009년 기준으로 국제선은 중국의 베이징, 상하이 푸동 선양 칭다오, 태국 방콕 노선이 운항되고, 국내선은 김포 인천 제주 등과 연결되었다.

2012년 3월 항공 사업자 및 여행사 재정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였으며, 2014년 3월 저비용항공사 티웨이항공이 취항하였다. 2014년 7월 커퓨타임(Curfew time)[야간 운항 통제 시간]을 3시간 단축하였으며, 저비용항공사 제주항공이 취항하였다. 2014년 9월 중국인 단체 관광객의 무비자 환승 공항으로 지정되었다. 2015년 국제선 노선이 증설[상하이, 베이징 선양]되고, 신설[오사카 괌]되었으며, 항공 여객은 연 203만 명을 달성하였다. 2016년 국제선 노선을 신설[도쿄, 후쿠오카 타이베이 산야 홍콩 세부]하고, 저비용항공사가 취항[타이거에어, 에어부산]하였으며, 항공 여객은 연 250만 명을 달성하였다. 2017년에도 국제선 노선이 신설[오키나와 다낭 방콕]되었고, 여객터미널의 주차빌딩을 신축하였으며, 공항을 경유하는 시외버스 노선을 개시하였다. 또한, 주기장 확장, 램프버스 운영, 김포노선 운항 재개가 이루어졌고 항공 여객 연 350만 명을 달성하였다. 2018년에도 국제선 노선이 신설[블라디보스토크 하바롭스크 하노이 구마모토 가고시마 마카오]되었으며, 저비용항공사가 취항[비엣젯에어]하였고, 국제선 신규 취항에 따른 인센티브 지원에 관한 재정지원 조례를 개정하였으며, 항공 여객 연 406만 명을 달성하였다.

[현황]

대구국제공항대구광역시 동구 지저동 400-5에 있다. 부지면적 661만 7283㎡에 터미널 규모는 여객터미널 26,716㎡, 화물터미널 884㎡이다. 여객터미널 국내선은 면적 1만 1985㎡에 연간 256만 명을 수용할 수 있고, 국제선은 면적 1만 4731㎡에 연간 114만 명을 수용할 수 있다. 화물터미널[국내선]은 면적 844㎡에 연간 화물처리 능력 1.7만 톤이다. 계류장은 면적 4만 1582㎡로 A300급 항공기 6대가 동시에 머무를 수 있으며, 주차장은 면적 2만 5117㎡에 1,097대를 수용할 수 있는 규모이다. 활주로 길이는 2,755m×45m, 2,743m×45m로 2개가 있다. 취항 항공사는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중국국제항공, 중국동방항공, 중국남방항공, 산동항공 등이다. 공항코드는 IATA 코드 TAE, ICAO 코드 RKTN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