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이우출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2890
한자 李禹出
영어공식명칭 Lee Uchul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집필자 김종헌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23년 3월 17일연표보기 - 이우출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51년 - 이우출 대구 능인학교 교사 재직
활동 시기/일시 1961년 - 이우출 조선일보 신춘문예 시조 「종루」 발표
활동 시기/일시 1965년 - 이우출 경북문학동호회 창립
활동 시기/일시 1972년 - 이우출 대구 능인학교 교장 재직
활동 시기/일시 1977년 - 이우출 영남시조문학회 회장 취임
몰년 시기/일시 1985년 4월 19일연표보기 - 이우출 사망
출생지 문경 - 경상북도 문경시
수학|강학지 문경공립보통학교 - 경상북도 문경시
수학|강학지 영천오산불교학교 - 대구광역시 지도보기
수학|강학지 혜화전문학교 - 서울특별시
성격 문학인
성별 남성
본관 경주
대표 관직|경력 영남시조문학회 회장

[정의]

대구에서 활동한 시조 시인.

[개설]

이우출(李禹出)[1923~1985]은 1923년 3월 17일 경상북도 문경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경주이다. 김종길, 박항식, 장호 등과 함께 『동국시집』 제1집을 내면서 작품 활동을 시작하였다.

[활동 사항]

이우출은 1936년 문경공립보통학교[현 문경초등학교]를 졸업하고 1939년 영천오산불교학교[현 능인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일찍 부모를 여읜 데다 일제강점기의 억압으로 인하여 경상북도 문경시에 있는 김룡사에 입산하였으며, 징용을 피하여 만주 일대를 방황하기도 하였다.

이우출은 광복 직후 혜화전문학교[현 동국대학교]를 졸업하였다. 6·25전쟁 시기인 1951년 대구 능인고등학교 교사로 발령을 받았다. 6·25전쟁 이후 대구에 정착하여 시조 시인으로 활동하였다. 효성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동국대학교 경주대학 국어국문학과 강사를 역임하였다.

이우출은 1961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시조 「종루(鐘樓)」를 발표하였다. 1965년 지역의 시조 시인 이호우 등과 함께 경북문학동호회[1967년 영남시조문학회로 개칭]를 창립하고 1967년 『낙강』 동인지를 발행하였다. 이우출은 1972년 대구 능인학교 교장으로 취임하였으며, 1977년 영남시조문학회 회장에 취임하였다.

이우출은 평소 술을 즐긴 것으로 유명하다.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옆에 있는 ‘다마네기집’은 이우출의 단골집으로 알려져 있다.

이우출은 1985년 4월 19일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이우출의 저서는 시조집 『종루』[1970], 『초운 이우출선생 회갑기념문집』[1983] 등이 있다.

[상훈과 추모]

이우출은 사후에 경상북도 문화상을 수상[1968]하였다. 1986년에는 영남시조문학회[2020년 낙강시조문학회로 개칭]에서 문경새재 제1관문 초입에 이우출 시조비 ‘종루’를 세웠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