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2423
한자 都錫珪
영어공식명칭 Do Seokgyu
이칭/별칭 회언(會彦),서호(西湖),금남(錦南),도병규(都秉圭)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도성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773년연표보기 - 도석규 출생
활동 시기/일시 1809년 - 도석규 진사시 합격
몰년 시기/일시 1837년연표보기 - 도석규 사망
출생지 서재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서재리 지도보기
거주|이주지 서재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서재리 지도보기
수학|강학지 이락서당 -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 965[파호동 46-1]지도보기
묘소|단소 도석규 묘소 -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영오리
성격 학자
성별 남성
본관 성주(星州)

[정의]

조선 후기 대구 출신의 학자.

[가계]

도석규(都錫珪)[1773~1837]의 본관은 성주(星州)이며, 자는 회언(會彦), 호는 서호(西湖)·금남(錦南)이다. 어릴 때의 이름은 도병규(都秉圭)이다. 도성유(都聖兪)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도필채(都必采)이다. 도필동(都必東)의 양자로 입적되었다. 첫 번째 부인은 아산장씨(牙山蔣氏)이고, 두 번째 부인은 인천채씨(仁川蔡氏)이다. 동생은 도면규(都冕珪)이다.

[활동 사항]

도석규는 1773년(영조 49) 대구 서재[현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서재리]에서 태어났다. 강고(江皐) 유심춘(柳尋春)[1762~1834] 문하에서 수학하였고, 1809년(순조 9)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도석규한강(寒岡) 정구(鄭逑)[1543~1620]와 여헌(旅軒) 장현광(張顯光)[1554~1637]의 문묘 배향을 청하는 상소와 번암(樊巖) 채제공(蔡濟恭)[1720~1799]의 신원을 요청하는 상소에 참여하였다. 이동항(李東沆)·이동급(李東汲)·박광보(朴光輔)·조택규(趙宅奎) 등과 교유하였고, 한강 정구낙재(樂齋) 서사원(徐思遠)[1550~1615]의 유허지에 지역 인사들과 함께 이락서당(伊洛書堂)을 지어 사림의 강학소를 마련하였다. 도석규는 1837년(헌종 3)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도석규의 저술로는 『금남문집(錦南文集)』이 있다. 금호강의 명소 열 곳을 읊은 「서호병 10곡」이 전하며, 『가례편고(家禮便考)』와 『해동군원록(海東群源錄)』을 편집하였다.

[묘소]

도석규의 묘소는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영오리에 있다. 1971년 4월 곽창승(郭昌承)이 행장(行狀)을 지었고, 묘지명(墓誌銘)은 1972년에 도은환(都殷煥)이 찬하였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