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양민학살 국회특별조사반 경북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1525
한자 良民虐殺 國會特別調査班 慶北班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일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1960년 6월연표보기 - 양민학살 국회특별조사반 경북반 구성
성격 기관 단체
설립자 국회

[정의]

1960년 대구광역시에서 조직된 국회 소속 6·25전쟁 양민 집단학살 사건 조사반.

[개설]

대구·경상북도 지역에서의 양민 집단학살 사건은 6·25전쟁 이전에는 우익 반공 단체인 호림부대에 의하여 달성1구 광산학살 사건이 자행되었다. 6·25전쟁 직후에는 달성1구와 가창 그리고 경산 코발트 광산에서 국가권력에 의하여 대구형무소에 수감되어 있던 기결수와 미결수 등 1,402명이 학살당하는 사건이 자행되었다.

[설립 목적]

4·19혁명 이후 국회에서는 6·25전쟁 전후 국가권력과 반공 단체에 의하여 자행된 대구와 경상북도 지역의 양민 집단학살 사건을 조사할 목적으로 양민학살 국회특별조사반 경북반(良民虐殺國會特別調査班慶北班)을 구성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양민학살 국회특별조사반 경북반은 윤용구(尹鎔球)·주병환(朱秉煥) 등 두 명의 국회의원으로 구성되었다. 양민학살 국회특별조사반 경북반은 1960년 6월 2일부터 6월 6일까지 닷새 동안 대구 가창과 경상북도 문경군 산북면 석달부락을 조사하였다. 대구·경상북도의 다른 지역에 대한 조사는 시간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제외되었다.

양민학살 국회특별조사반 경북반은 1960년 6월 2일 가창 학살 현장에서 진상 조사에 착수하였다. 진상 조사는 윤춘근(尹春根) 소장, 왕득윤(王得允) 등 군경 당무자들이 참가한 가운데 이루어졌다. 진상 조사는 학살 장소로 알려진 가창 관내 용계동[가창댐 부근], 파동 서당골, 상원동 달성1구 광산 등 3개소를 대상으로 하여 학살 일자, 인원수, 학살 집행의 주체[군 또는 경찰] 등을 중점으로 진행되었다.

3시간의 짧은 시간 동안 진행된 진상 조사에서도 1949년 3월[음력] 우익 반공 단체인 호림부대에 의한 달성1구 광산학살 사건, 6·25전쟁 직후 군경에 의한 대구형무소 수감자 학살 사건 등을 확인하였다. 양민학살 국회특별조사반 경북반경상북도청에 지시하여 1960년 6월 3일부터 양민 학살 신고를 받도록 하였다. 경상북도청 사회과를 통하여 4,000여 건의 신고가 접수된 것으로 알려졌다.

양민학살 국회특별조사반 경북반은 1960년 6월 5일 대구형무소를 방문하여 진상 조사를 진행하였다. 양민학살 국회특별조사반 경북반대구형무소 관계자의 보고를 통하여 1950년 7월 6일부터 약 1주일 동안 대구형무소에 수감된 기결수 371명과 미결수 1,031명 등 1,402명의 수감자들이 군경에 인계된 사실을 확인하였다. 군경에 인계된 수감자들의 선별은 특무대 헌병 및 경찰 수사관들이 대구형무소에 사형수와 사형 구형 예정자 명단과 각 경찰서에 송치된 좌익 명단을 요구하여서 이루어졌다.

양민학살 국회특별조사반 경북반대구형무소로부터 군경에 인계된 1,031명의 명단만 확보하였다. 당시 대구형무소 형무관은 군경에 수감자를 인계할 때, 신병 인계 영수증을 받지 못한 채 최소한의 구비 서류와 인도 신분증만을 작성하였고, 이마저도 6·25전쟁 중 8월 중순 대구형무소 철수를 예정한 상사의 명령에 따라 소각 처리하였기 때문이었다. 양민학살 국회특별조사반 경북반대구형무소 조사를 마치고 경상북도 문경군 산북면 석달부락으로 향하였다.

[의의와 평가]

양민학살 국회특별조사반 경북반의 대구·경상북도 조사는 6·25전쟁 전후 국가권력과 반공 단체에 의하여 자행된 민간인 집단학살에 대한 최초의 진상 조사였다는 데 의미가 있다. 조사 활동을 통하여 민간인 집단학살의 사실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학살 주체와 피해자의 신상, 현장 발굴 등은 향후 과제로 남았다. 양민학살 국회특별조사반 경북반의 진상 조사 이후 대구에서는 경북피학살자유족회가 결성되어 민간 차원에서의 진상규명 활동이 전개되었지만 5·16군사정변으로 무산되고 말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