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영영일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0990
한자 嶺營日記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재두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술 시기/일시 1751년연표보기~1752년연표보기 - 『영영일기』 집필
저술 시기/일시 2004년 - 『영영일기』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에서 역주
소장처 일본 교토대학 중앙도서관 - 일본 교토부 교토시 사쿄구
간행처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 대구광역시 북구 대학로 80[산격동 1370-1]지도보기
성격 업무 일지
저자 조재호
권책 1책
행자 10행×20~22자
어미 상하내향(上下內向) 이엽화문어미(二葉花紋魚尾)
권수제 건륭16년6월 일영영일기(乾隆十六年六月 日嶺營日記)

[정의]

조선 후기 문신 조재호가 1751년 6월 2일부터 1752년 8월 1일까지 작성한 경상감사 업무 일지.

[개설]

『영영일기(嶺營日記)』는 조재호(趙載浩)[1702~1762]가 1751년(영조 27) 경상감사로 제수되어 한양을 출발하여 부임하는 과정과 대구 경상감영에서의 업무 및 지역별 순력 과정을 구체적으로 기록한 업무 일지이다. 『경상도선생안』에 의하면 조재호는 예조판서였다가 1751년 6월 15일 경상감사로 부임하였으며, 1752년 7월 이조판서에 제수되어 7월 28일 경상감사를 그만두었다. 『영영일기』는 일본 교토대학 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2004년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에서는 황위주와 강정서가 역주하여 영인한 원문과 함께 출판하였다.

[저자]

조재호는 좌의정 조문명(趙文命)의 아들이며, 영의정 조현명(趙顯命)의 조카이고, 영조의 장남 효장세자의 부인인 효순왕후(孝純王后)의 오빠이다. 조재호는 1762년(영조 38) 장헌세자(莊獻世子)[사도세자]가 화를 입게 되자 사도세자를 구하려고 서울로 올라갔으나, 오히려 역모로 몰려 종성으로 유배·사사되었다가 1775년(영조 51) 신원(伸寃)되었다.

[형태/서지]

『영영일기』는 사주쌍변(四柱雙邊)과 계선(界線)이 인쇄된 10행의 괘판(罫板)에 행마다 20~22자로 묵서(墨書)하였다. 판심은 상하내향(上下內向)의 이엽화문어미(二葉花紋魚尾)가 새겨져 있으며 판심제(版心題)는 없다.

[구성/내용]

『영영일기』 본문은 날짜가 시작할 때마다 한 자씩 올려 쓰고 있으며 수정한 기록이 거의 없는 것으로 보아 원고를 정리한 후 한 사람이 해서체로 정서한 것으로 보인다. 조재호의 경상감사 부임부터 이임 때까지 14개월간의 전 과정을 살필 수 있다.

[의의와 평가]

『영영일기』는 조선 후기 감사의 업무와 일상을 살필 수 있는 자료로서 지방 행정의 실상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경상감사 도임 순력 행차’ 및 ‘교인식’ 재현 행사 등 관아 관련 전통문화 재현 행사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