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0630
한자 -山-
영어공식명칭 Apsan Trail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시설
지역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한승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현 소재지 앞산자락길 -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 지도보기
성격 등산로

[정의]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 앞산 용두골에서 달비골 구간에 조성된 앞산 자락 오솔길.

[개설]

앞산자락길은 2009년에 조성된, 용두골에서 달비골에 이르는 산책길이다. 앞산순환도로에서 일정 높이의 거리를 두고 등고선을 따라 산자락부에 기존의 산책로와 오솔길을 자연스럽게 연결하여, 누구나 편안하게 걸을 수 있도록 조성된 길이다.

[건립 경위]

대구광역시의 걷기 코스의 일부 구간이다. 시민들의 건강, 체력 증진을 위하여 걷기 코스가 개발되었다. 정상 정복형 등산문화와 지형·지질·생태자원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 부대시설의 과도한 증가, 등산로의 확장, 노면침식 등으로 인하여 앞산의 훼손이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지속가능한 관광의 개념에 입각하여 앞산공원을 대상으로 학습탐방로 조성계획을 수립하였다. 앞산자락길은 관광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서 시작된 산책길이라고 할 수 있다.

[변천]

앞산자락길은 14㎞, 6시간, 편도코스로 구성되었다. 이후 대구광역시 남구청에서는 앞산자락길 일부 구간과 앞산 카페마을 1.4㎞를 연계한 9.3㎞의 녹색길을 2013년 1월에 완공되었다. 대구광역시 남구청은 행정안전부 친환경 생활공간 조성 공모사업에 선정되어 앞산 카페마을 녹색길 조성 사업에 15억 원의 예산을 들여 특화거리로 지정하였다.

[구성]

앞산자락길은 총 14㎞ 코스이며, 6코스로 나뉘어진다.

대구광역시 남구청이 관할하는 1코스는 고산골 메타세쿼이아길-강당골[1.9㎞, 약 35분 소요], 2코스는 강당골-케이블카[2.3㎞, 약 55분 소요], 3코스는 케이블카-안지랑골 안내소[2.4㎞, 약 1시간 소요], 4코스는 안지랑골 관리소-매자골 황룡사[1.4㎞, 약 30분 소요]로 구성되어 있다. 달서구가 관할하는 5코스는 황룡사 입구-달비골 관리소[3.2㎞, 약 1시간 20분 소요], 6코스는 달비골 관리소-청소년 수련관[3.8㎞, 약 1시간 40분 소요]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구광역시 남구청에서는 남구 관할인 메타세쿼이아길에서부터 매자골 황룡사까지의 4코스를 총 6개 구간으로 나누어 별도의 길 이름을 붙여 놓았다. 1구간은 메타세쿼이아길[고산골 입구~쌈지조각공원 갈림길], 2구간은 맨발산책길[쌈지공원 갈림길~강당골 입구], 3구간은 이팝나무길[강당골 입구~케이블카], 4구간은 호국선열의길[케이블카~충혼탑 입구], 5구간은 꽃무릇길[충혼탑~안지랑골], 6구간은 소원성취길[안지랑골~매자골 황룡사]이다.

[현황]

앞산자락길은 구간별 테마 길을 조성하여서 구간마다 다양한 야생화와 수목들이 식재되었다. 앞산자락길앞산순환도로에서 접근하기 용이하며 수직으로 이어지는 등산로와 달리 수평 방향으로 조성되어 있어 쉽게 걸을 수 있는 자연공원 길이다. 앞산자락길은 덩굴식물, 분꽃나무, 인동덩굴, 단풍나무, 느티나무 등 다양한 수종이 식재되어 앞산자락길을 찾는 시민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하고 있다. 대구광역시에서는 나무와 식물에 이름표를 붙여 앞산자락길을 찾는 시민이면 누구나 쉽게 식물에 대하여 배우며 즐길 수 있는 숲속 교육의 장을 제공하고 있다.

앞산자락길에는 호국선열의 뜻을 기리는 충혼탑낙동강승전기념관, 과거 앞산에 대하여 알 수 있는 공룡 발자국과 지질자원[건열, 연흔] 및 용두토성, 사찰 등 다양한 볼거리가 있다. 시민들의 휴식공간으로 매자골 솔숲, 평안동산, 강당골 체육시설 등이 조성되어 있고, 주차장 등 편의시설도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