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수필세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8027
한자 隨筆世界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문헌/연속 간행물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종헌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창간 시기/일시 2004년연표보기 - 『수필세계』 창간
성격 문예잡지
관련 인물 홍억선|이숙희
창간인 홍억선

[정의]

대구광역시에서 창간된 계간 수필 문학 전문잡지.

[개설]

『수필세계』는 2004년 여름 “장르의 명칭조차도 명확히 정립하지 못한 현실에다 본격 수필문학으로서 형식과 내용의 범주를 넓히고 좁히는 당면한 과제”를 안고 창간된 계간지이다. 홍억선이 주간을 맡아서 창간하였으며 대구 지역에서 발행되었지만 전국적 규모의 잡지이다.

[창간 경위]

창간사에서 밝힌 『수필세계』의 창간의 목적은 ‘시도하다, 모색하다’라는 수필의 어원에 충실하고, 수필 문학의 전통성을 온전히 계승하는 것이다. 이에 연암(燕巖)[박지원]과 형암(炯庵)[이덕무]으로부터 근대 수필이 자리 잡은 1930년대를 거쳐 현재에 이르기까지 선배 수필가들이 이룩하여 놓은 업적을 탐구하고 계승할 것을 표방하였다. 또 역량 있는 신예 작가를 발굴하고 수필의 외연을 확장함과 동시에 내실을 다질 것을 목표로 창간되었다.

[구성/내용]

『수필세계』 창간호[2004, 여름호]는 홍억선의 창간사, 도창회의 축사, ‘기획1’ 새로 쓰는 수필론[박양근, 이정림, 김시헌, 변해명, 신재기 등 집필], ‘기획2’ 신예작가 12인 신작선[김성구, 김정임, 박순선, 박용수, 박종기, 인인주, 이태호, 장명희, 조나영, 전윤미, 최현숙, 황성진 등], ‘기획3’ 한국의 수필 세계의 수필[임무물, 허영은, 배화열 집필] 등의 기획 특집 3 코너와 강중구 「세 번째 지리산 종주 길에서」 등 21편의 수필을 ‘신작 계절의 신작 21선’ 코너에 수록하였고, ‘우리 시대의 수필작가’에서 정태헌 수필가를 조명하였다. 이러한 편제는 큰 변화 없이 유지하며 이어지고 있다.

[변천과 현황]

『수필세계』는 창간 이후 계간으로 발행되었으며, 2015년 창간 10주년 기획으로 『우리 시대의 수필가』를 단행본으로 출간하였다.

[의의와 평가]

『수필세계』는 대구 지역에서 창간된 이래 지속적으로 발행하면서 신예 수필가의 발굴과 수필 문학에 대한 외연과 내연을 동시에 확장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