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연결어미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6300
한자 連結語尾
영어공식명칭 Connective Ending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언어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갑진

[정의]

대구 지역어에서 어간에 붙어 두 문장을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어미.

[개설]

연결어미는 두 문장을 한 문장으로 만들 때 선행절에 붙어 후행절과 연결지어 하나의 문장으로 만들거나 본용언에 보조용언을 이어 주는 어미를 이르는 것이다. 대등적연결어미, 종속적연결어미, 보조적연결어미가 있다. 두 절을 이어 주는 방식에 따라 대등적연결어미와 종속적연결어미가 있는데, '-고', '-지만', '-든지' 등과 같은 대등적연결어미는 선행절과 후행절을 대등하게 연결하는 반면 '-아서/-어서', '-(으)면', '-(으)려고' 등과 같은 종속적연결어미는 선행절을 후행절에 종속적으로 이어 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본용언에 보조용언을 연결하는 보조적연결어미에는 '-아/어', '-게', '-지', '-고' 등이 있다.

대구 지역어에서도 다양한 연결어미들이 사용되는데, 표준어와 형태가 같은 것도 있고 음운적 차이가 있는 것도 있다. 대구 지역어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연결어미는 대체로 종속적연결어미이며, 일부의 대등적연결어미에서도 표준어와 음운적 차이가 있다.

[사례]

1. 대등적연결어미

첫 번째, 나열의 의미로 -민서가 있다. 예컨대, 노래를 부르민서 충을 춘다.

두 번째, 선택의 의미로 -등가가 있다. 예컨대, 가등가 말등가 마음대로 하그라.

2. 종속적연결어미

첫 번째, 이유나 원인의 의미로 -아/어가, -(으)니깐, -(으)니까네, 니라고가 있다. 예컨대, 비가 이래 와가 되긋나, 아가 너무 아파가 공부하라카지를 몬했다, 니가 자꾸 그카니까네 집중이 안 되잖아, 우리 아버지는 사업을 하니라고 자주 늦으신다.

두 번째, 가정이나 조건의 의미로 -(으)만, -(으)마가 있다. 예컨대, 내일이 되만 날씨가 좀 풀릴끼다, 내가 가마 해결될끼라.

세 번째, 목적의 의미로 -(을)라고, -(을)라꼬가 있다. 예컨대, 살 뺄라고 마이 굶었다 아이가, 뭐 할라꼬 그쿠는데.

네 번째, 양보의 의미로 -다캐도['-다고 해도'가 축약된 형태]가 있다. 예컨대, 기적이 일어난다캐도 그 일은 안 될끼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