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불교대학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4407
한자 佛敎大學
분야 종교/불교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병선

[정의]

대구광역시에서 불법을 널리 알리며 포교를 목적으로 설립한 불교 교육기관.

[개설]

불교대학(佛敎大學)은 1973년 대한불교대원회가 불교계에서 처음 대원불교대학을 설립한 이래 1985년부터 본격적으로 조계종을 비롯한 주요 종단, 그리고 사찰별로 신도 교육을 위한 기초 교리 강좌를 개설하는 등 양적인 팽창을 보이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인터넷을 통한 교육이 활성화되면서 해외 교포와 직장인들의 수강이 늘고 있다. 불교대학은 기존의 교리 위주 교과과정을 탈피하여 전문적인 사회교육 기관으로서의 기능까지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불교대학들의 교과과정 특성화로 집약할 수 있으며, 다양한 영역의 교육 기회 제공과 신행 생활의 심화 등에도 한몫을 하고 있다. 따라서 불교대학은 교양 수련 과정이며, 교육부 인가 대학과는 다른 교육기관이다.

[대구광역시의 불교대학 현황]

2020년 현재 대구광역시의 불교대학은 10개 정도만 운영되는 것으로 파악된다. 대구불교대학, 한국불교대학대관음사[우리절불교대학], 불광사경북불교대학, 대성사금강불교대학, 한국불교대학대관음사 칠곡도량, 대응공사자혜불교대학, 보리불교대학, 33관음불교대학, 대한불교조계종금강불교대학원광사, 성취선원불교대학, 대승불교대학 정도이고 하심사불교대학, 보문사불교대학은 소재가 파악되지 않는다.

불교대학의 교세는 사찰 규모에 비례한다. 규모가 큰 사찰의 불교대학은 매년 입학생 수가 수백 명에 이르지만 대부분은 수십 명의 학생을 모집하는 정도이며, 그나마 일부는 입학생 수의 감소로 운영을 중단하기도 한다. 특히 2020년 현재는 코로나19의 유행으로 대부분의 불교대학이 신입생 모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불교대학의 과정은 대학 과정, 대학원 과정, 평생교육 과정 등 사찰의 규모와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개설되어 있다. 수업연한은 1년 과정과 2년 과정이 대부분이고 특정 사찰에서는 그 이상의 수업연한을 두기도 한다. 입학 자격은 포교 차원에서 남녀노소 누구나 입학할 수 있으며, 수업료도 교재비 정도만 납부하면 된다. 교과목은 대학 과정에서는 기본 교리 중심이고 대학원은 심화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대구광역시 최초의 불교대학은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이 인가한 대구불교대학이다. 대구불교대학은 대한불교조계종 팔공총림 동화사 부설 교육기관이다. 대구불교대학은 1992년 4월에 대구경북불교대학으로 설립하여 1992년 현재의 명칭인 대구불교대학으로 개칭하였으며,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보현사 내에 있다. 대구불교대학은 2년 4학기제로 대학 과정과 대학원 과정으로 나누고 각각 주간반·야간반을 운영하고 있다. 대구불교대학은 체계적인 불교 교육을 통하여 불교의 세계를 이해하고 불자다운 진면목을 갖출 수 있도록 육성하는 재가 불자 전문 교육기관이다. 교육 후에는 본인의 재적 사찰로 돌아가 주도적이고 중심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불자 양성과 포교를 궁극 목적으로 한다.

한국불교대학대관음사는 대구불교대학과 같은 해인 1992년 5월에 영남불교대학으로 설립되었다. 1994년에 전국 최초로 대학원 과정을 개설하였으며, 1년 기본 수료 과정, 2년 대학 과정, 4년 대학원 과정, 10년 삼장법사 과정 등의 과정이 개설되어 있고, 매년 많은 신입생을 모집하고 있다.

불광사경북불교대학은 1996년에 개설하여 2004년에 조계종 직할교구로 등록되었으며, 대학 과정, 대학원 과정, 평생교육원 과정 등으로 구성되어 불교를 홍보하고 포교하는 불교대학이다. 경북불교대학의 대학 과정 및 대학원 과정은 모두 2년 4학기제이며, 대학 과정은 주·야간 과정으로, 노인대학은 평생교육 과정으로 진행된다.

보리불교대학은 보리사의 부설 교육기관이다. 2002년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으로부터 신도 전문 교육기관으로 정식 인가를 받은 2년 4학기제의 불교대학이다.

대성사금강불교대학은 대한불교천태종 대성사의 불교대학으로 2004년에 1년제 과정을 개설하면서 설립되었으며, 2005년에는 2년제 과정을 개설하여 2020년 현재 각각 16기와 14기 졸업식을 거행하였다.

한국불교대학대관음사 칠곡도량은 2004년 2월에 칠곡운암지칠곡도량으로 개원하였으며, 2007년에 한국불교대학대관음사 칠곡도량으로 개명하였다. 한국불교대학대관음사 칠곡도량은 큰절인 한국불교대학대관음사와 모든 과정을 동일하게 진행한다.

대응공사자혜불교대학은 2002년에 응공선원으로 창건하여 응공사로 개칭하였으며, 2011년에 대응공사자혜불교대학으로 개명하면서 불교대학으로 출범하였다. 대학 과정은 학사 과정, 석사 과정, 최고위 과정으로 구분되는데, 학사·석사 과정의 수업 기간은 2년이다.

33관음불교대학은 경상북도 경주시 현곡면 하구리에 있는 반야정사의 포교당이다. 2014년에 설립되었으며, 남녀노소 누구나 선착순 모집하며, 1년 단위의 단기 과정으로 운영된다.

[참고문헌]
  • 『대성사보』 12(대구 대성사, 2020)
  • 불광사경북불교대학(http://www.gbbc.or.kr)
  • 한국불교대학대관음사(http://www.tvbuddha.kr)
  • 현대불교신문(http://www.hyunbulnews.com)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