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공공기관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3395
한자 公共機關
영어공식명칭 Public Institution
분야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성영태

[정의]

대구광역시에 있는 공공의 이익을 목적으로 설립되어 운영되는 기관.

[개설]

공공기관은 모든 사회 구성원의 이익을 위하여 일하는 기관을 의미한다. 공공기관은 우선 공공 행정을 담당하거나 공공 서비스 또는 공공 재화의 생산을 담당하는 공조직으로서 ‘관공서(官公署)’로 통칭되는 국가 기관이나 지방자치단체, 각급 학교를 포함하며. 공법인(公法人)으로 분류되는 정부투자기관, 특수 법인도 포함된다. 한편, 좁은 의미로 정부가 지분이 있는 공기업이나 공익을 위하여 정부가 설립한 기관을 지칭하기도 하여, 정부투자기관, 정부산하기관, 정부출연기관 등도 공공기관이라 할 수 있다.

대구광역시의 공공기관은 크게 국가기관, 지방자치 관련 기관[지방자치단체와 각급 학교], 공기업, 준정부기관, 기타 공공 기관과 공법인 등이 있다.

[국가기관]

대구광역시에 있는 국가기관은 법원과 선거관리위원회, 「정부 조직법」에서 규정한 특별지방행정기관으로 나뉜다.

법원은 대구고등법원, 대구지방법원, 대구가정법원이 있으며, 선거관리위원회는 대구광역시 선거관리위원회를 필두로 하여 하여 8개 구·군 선거관리위원회가 있다.

특별행정기관으로는 대구지방국세청, 대구지방교정청, 대구지방환경청, 대구지방보훈청, 대구본부세관, 대구지방공정거래사무소, 대구보호관찰소, 대구지방고용노동청, 대구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대구지방조달청, 대구지방병무청, 대구지방기상청, 동북지방통계청 등이 있다.

[지방자치단체와 각급 학교]

지방자치와 관련한 단체로는 우선, 대구광역시와 대구광역시 산하 11개 직속 기관[공무원교육원, 보건환경교육원, 농업기술센터, 8개 소방서], 19개 사업소[상수도사업본부, 건설본부, 도시철도건설본부, 서울본부, 시설안전관리사업소, 농수산물도매시장, 차량등록사업소, 종합복지회관, 여성회관, 동부여성문화회관, 문화예술회관, 대구미술관, 대구콘서트하우스, 체육시설관리사무소, 도시공원관리사무소, 팔공산자연공원관리사무소, 수목원관리사무소, 달성습지관리사무소], 8개 기초자치단체와 읍·면·동에 설치된 141개의 행정복지센터가 있다.

아울러 입법기관인 대구광역시의회와 8개 기초자치단체의 의회도 넓은 의미의 공공기관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대구광역시교육청과 산하 4개 교육지원청[동부, 서부, 남부, 달성]도 공공기관이다. 대구광역시 내 소재하고 있는 각급학교는 2021년 4월 1일 현재 유치원이 342개[공립 116개, 사립 227개], 초등학교 232개[국립 2개, 공립 226, 사립 4개], 중학교 125개[국립 1개, 공립 90개, 사립 34개], 고등학교 94개[국립 1개, 사립 44개, 사립 49개], 특수학교 10개[공립 4개, 사립 6개], 각종학교 3개[모두 공립]가 있다. 대학교로는 경북대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계명대학교, 대구대학교, 영남대학교, 대구대학교, 대구교육대학교, 수성대학교, 대구공업대학교, 대구한의대학교, 계명문화대학교, 대구과학대학교, 대구보건대학교, 영진전문대학교, 영남이공대학교, 한국폴리텍6대학 등이 있다.

[공기업]

대구광역시에 있는 공기업으로는 한국가스공사, 한국감정원, 신용보증기금,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구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한국산업단지공단, 한국장학재단, 한국정보화진흥원 등이 있다.

[참고문헌]
  • 『2019 시정백서』 (대구광역시, 2019)
  • 기획재정부(http://www.mosf.go.kr)
  • 대구광역시청(http://www.daegu.go.kr)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23.10.05 현행화 [공기업]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구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