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드론산업육성정책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3244
한자 -產業育成政策
영어공식명칭 Drone Industry Development Policy
분야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임재강

[정의]

대구광역시를 드론산업의 메카로 육성하려는 정책.

[개설]

대구광역시는 급성장하고 있는 드론 산업을 육성하고자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먼저 스마트드론기술센터를 구축하여 기업 지원 허브 조성 기반을 완료하였으며, 국토교통부로부터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에 드론 비행 공역을 지정받아 드론 기업의 성장과 드론 산업 생태계 조성을 지원하였다.

첫째, 안전 편의 서비스용 스마트드론 활용 기술 기반 구축을 위하여 2015년 7월~2021년 6월에 총사업비 250억 원으로 스마트드론기술센터 설립, 시험 평가장 구축, 스마트 드론 활용 개발 지원과 성능 평가 인증 장비 구축, 파급 효과가 큰 드론 핵심 기술개발, 드론 비행 테스트 공간 조성, 드론 개발 및 신뢰성 검증 지원 장비 구축, 스마트 드론 기체 및 서비스 개발 지원, 스마트 드론 전문 인력 양성, 드론 활용 사업화 지원 및 생태계를 조성하였다.

스마트드론기술센터는 드론 및 지역 내 ICT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일괄 기업 지원 체계를 구축하여 제품화 촉진 및 관련 전문 기업 육성,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하여 설치된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첨단정보통신융합산업기술원] 산하기관이다. 스마트드론기술센터는 스마트 드론을 활용한 다양한 산업의 육성을 위하여 기업의 기술개발과 제품 개발을 지원할 인프라를 구축하고, 이를 활용한 관련 산업의 생태계를 활성화하기 위한 사업, 스마트 드론 산업 분야 기업들의 기술 경쟁력 강화, 기술개발 활성화, 제품화 촉진을 위해 기술개발 및 신뢰성 검증, 지원 장비, 테스트베드, 산업 생태계 조성, 대구광역시 무인 비행 장치 공역에서의 비행 시험을 통한 안전성 검증 시험을 실시하고 있다.

둘째, 드론 안전성 검증 시범 사업으로 2015년 12월~2018년 12월까지 달성군 구지면 오설리 860번지 일원 반경 3.9㎞에서 비행시간, 비행 속도, 일정 고도 유지, 자동 임무 비행, 최대이륙중량, 비행체 크기, 짐벌제어정밀도 등을 테스트하였다. 경북대학교 스마트드론기술센터와 유콘시스템 등 5개 기업이 협업하여 물품 수송, 산림 감시, 안전진단, 국토조사, 해안 감시, 통신망, 촬영 레저, 농업 지원 등의 분야에서 야간 비행, 자동 비행 신뢰성, 시각 보조장치, 충돌, 추락, 기상 영향, 지형 및 지리적 영향, 주파수 간섭 등의 시험을 하였다.

셋째, DMM 기반 장애물 회피 및 소형무인기 조종장치 기술개발을 위하여 2015년 9월~2019년 8월까지 총사업비 106억 원으로 IT-SW 융합 산업 원천기술개발을 하였다.

넷째, ‘DAEGU DRONE FESTA’를 2018년 9월 7일~9월 8일까지 대구스타디움에서 개최하였다. 전시관과 홍보관 전시, 드론 VR 체험, 드론 조종 및 정밀 착륙 체험, 프리스타일 드론 레이싱 시연, 농업용 방제용 드론, FPV 시연이 있었다.

드론산업육성정책은 대구광역시 혁신성장국 스마트시티과에서 담당한다. 스마트시티기획팀, 스마트시티인프라팀, SW산업팀, ICT산업팀에 22명의 공무원이 근무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