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글로벌 물 중심도시 조성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3127
한자 - 中心都市 造成
영어공식명칭 The Creation of a Global Water City
분야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임재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5년 - 제7차 세계물포럼 유치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5년 9월 - 미국 밀워키시와 물 산업 MOU 체결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6년 - 대한민국 국제물주간 창설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7년 9월 - 미국 밀워키시와 자매결연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7년 9월 - 네덜란드 프리슬란주와 물 산업 MOU 체결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8년 4월 - 네덜란드 프리슬란주와 물 산업 협력 워크숍 개최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8년 9월 - 필리핀 마닐라 광역상하수도청과 MOU 체결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8년 9월 13일 - 세계물도시 포럼 2018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9년 6월 - 국가물산업클러스터 준공

[정의]

대구광역시의 글로벌 물 중심도시로 성장시키는 것을 목표로 추진하는 사업.

[개설]

대구광역시는 미래 성장산업으로 수자원에 주목하고 대구광역시를 글로벌 물 중심도시로 성장시키는 것을 목표로 삼아 2015년 제7차 세계물포럼을 유치하였고, 2019년 국가물산업클러스터를 조성하였으며, 제17차 국제수자원학회 세계물총회를 유치하였다. 그리고 2025년까지 150여 개의 물기업 유치, 1만 5000개의 신규 일자리 창출과 7000억 원의 수출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

[현황]

대구광역시는 세계 물 산업의 중심지로 도약할 수 있도록 국제 물 분야 국제회의를 적극 유치하였다. 제7차 세계물포럼 유치 후, 2015년 9월 미국 밀워키시와 물 산업 MOU를 체결하였다. 2016년 ‘대한민국 국제물주간’과 ‘세계물도시포럼’을 창설하고 물 분야 국제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등 글로벌 물 중심도시로의 입지를 확대하였다. 또, 월드워터 파트너십 확립을 위하여 ‘세계 물도시 포럼 2017[World Water Cities Forum 2017, WWCF 2017]’과 ‘국제 물 산업 컨퍼런스’, ‘ADB-한국 스마트 물관리 워크숍’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최하였다. 특히 WWCF에서 11개 물 산업 선진도시들이 ‘세계 물 도시 협력 선언문’을 채택하였다. 또한 2017년 9월 미국의 밀워키시와 자매결연을, 네덜란드 프리슬란주와 물분야 협약을 각각 체결하였다. 2018년 9월에는 필리핀 마닐라 광역상하수도청과 MCU를 체결하였다. 2018년 9월 13일에는 세계물도시포럼 2018을 엑스코(EXCO)에서 개최하여 12개 해외 도시와 해외 5개 기관이 참여하였다.

이미 2019년 6월 국가물산업클러스터를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대구국가산업단지에 총사업비 2892억 원으로 14만 5000m² 규모의 실증화 시설과 기업집적단지로서 조성하였다. 또, 국가물산업클러스터 2단계 사업이라 할 수 있는 ‘국가산업단지 스마트 물관리 시스템 도입’, ‘유체성능시험센터 구축’ 등 '글로벌 물 산업 허브도시 조성'을 정부 지역 공약에 반영하였다.

2021년 개최되는 제17차 국제수자원학회 세계물총회[IWRA WWC]를 유치하여 대구는 국제 물 분야에서 수자원과 수질 분야를 모두 아우르는 글로벌 물 산업 허브도시로서의 위상을 확고히 구축하게 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