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2797
한자 柳根成
영어공식명칭 Yoo Geunseong
이칭/별칭 유성대(柳成大)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장세윤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84년연표보기 - 유근성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20년 - 유근성 흠치교 가입
활동 시기/일시 1921년 9월 - 유근성 일제 경찰에게 체포
활동 시기/일시 1921년 12월 12일 - 유근성 대구지방법원에서 징역 4년형 언도
활동 시기/일시 1922년 3월 23일 - 유근성 대구복심법원에서 항소 기각
활동 시기/일시 1922년 5월 16일 - 유근성 경성고등법원에서 징역 4년형 확정
몰년 시기/일시 1945년 4월 24일연표보기 - 유근성 사망
추모 시기/일시 2006년연표보기 - 유근성 건국훈장 애국장 추서
출생지 검사동 - 대구광역시 동구 검사동 지도보기
활동지 대구 - 대구광역시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남성
대표 경력 흠치교 신도

[정의]

일제강점기 대구 출신의 독립운동가.

[개설]

유근성(柳根成)[1884~1945]은 1884년 지금의 대구광역시 동구 검사동에서 태어났다. 신흥종교 흠치교(吽哆敎)에 입교하여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유성대(柳成大)라는 이름으로도 활동하였다.

[활동 사항]

유근성은 1920년경 차경석(車京錫)을 교주로 하는 신흥종교 흠치교에 가입하였다. 흠치교는 1901년 강일순(姜一淳)이 세웠는데, 주문에 ‘흠치흠치(吽哆吽哆)’라는 말이 있어서 흠치교라고 불렸다. 흠치교 신도들은 겉으로 종교 활동을 표방하였으나, 실제로는 국권회복운동에 진력하기로 결의하였다. 흠치교는 교주 밑에 60인의 고문을 두고, 각 고문 밑에 6인조, 6인조 밑에 각 12인조, 12인조 밑에 각 8인조, 8인조 밑에 각 15인조 등을 두는 조직 체계를 구성하였다. 훔치교 신도들은 1924년 이른바 ‘갑자(甲子)해’에 흠치교의 힘으로 식민지 조선이 독립이 될 것이라고 선전하면서 자금 모집 및 교세 확장에 힘썼다.

유근성은 흠치교 활동 중 1921년 9월 초 일본 경찰에게 체포되었으며, 1921년 12월 12일 대구지방법원에서 「제령 제7호」 위반 혐의로 징역 4년형을 언도받았다. 이에 불복하여 항소하였으나 1922년 3월 23일 대구복심법원에서 항소가 기각되었고, 다시 경성고등법원에 상고하였지만 5월 16일 상고가 기각되어 4년 동안 옥고를 치렀다. 유근성은 1945년 4월 24일 사망하였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유근성의 공적을 기려 2006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독립유공자공훈록』 17(국가보훈처, 2009)
  • 『경북독립운동사』 6(안동대학교 안동문화연구소·안동독립운동기념관, 경상북도, 2014)
  • 「판결문」(대구지방법원, 1921. 12. 12.)
  • 「판결문」(대구복심법원, 1922. 3. 23.)
  • 「판결문」(경성고등법원, 1922. 5. 16.)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