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2641
한자 朴命祚
영어공식명칭 Park Myeongjo
이칭/별칭 우현(又玄)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예술인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집필자 신현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06년연표보기 - 박명조 출생
수학 시기/일시 1920년 - 박명조 대구고등보통학교 진학
활동 시기/일시 1926년 9월 23일~9월 27일 - 박명조 대구 최초의 양화 개인전
몰년 시기/일시 1969년 8월 24일연표보기 - 박명조 사망
추모 시기/일시 2017년 5월 10일~5월 21일 - 박명조 탄생 110주년 맞이 회고전
출생지 덕산동 - 대구광역시 중구 덕산동 지도보기
학교|수학지 대구고등보통학교 - 대구광역시 지도보기
활동지 대구 - 대구광역시
성격 화가
성별 남성
대표 경력 조선미술전람회 입선

[정의]

일제강점기 대구 출신의 서양화가.

[활동 사항]

박명조(朴命祚)[1906~1969]는 대구광역시 중구 덕산동에서 태어났다. 호는 우현(又玄)이고, 6세 때 아버지를 여의었다. 대구공립보통학교[현 대구초등학교]를 졸업하고 1920년 대구고등보통학교[현 경북고등학교]에 진학하였으나 1923년 자퇴하였다.

박명조는 1926년 조선총독부 주최로 열린 제5회 조선미술전람회에 「초춘」으로 대구 출신 작가로는 최초로 입선하였으며, 7회, 10회~14회 연속으로 입선하였다. 1926년 9월 23일~9월 27일 대구교남기독 청년회관에서 대구 최초의 양화 개인전을 열었다. 1926년 일본 도쿄 석정백정 화숙(石井伯亭 畵塾)에서 공부하고 귀국한 후 1928년에는 오산학교 미술 교사로 근무하였다.

대구의 일본인 화가들이 대구미술협회를 결성하자 박명조는 이에 반발하여 1927년 서동진과 더불어 한국인만으로 구성된 대구 지역 예술 단체인 영과회(零科會)를 창립하였다. 1930년에는 대구 지역 순수미술 단체인 향토회(鄕土會)의 창립 회원으로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1937년에 개최한 남조선미술전람회에 마지막으로 출품한 후 작가 활동을 중단하고 대구공립중학교, 대구상업고등학교[현 대구상원고등학교], 대륜고등학교 교사를 역임하였다.

[상훈과 추모]

2017년 5월 9일~5월 21일 대구프라자갤러리 12층에서 박명조탄생 110년 기념 특별 회고전 ‘대한민국 미술의 거장 우현 박명조전’이 개최되었다. 회고전에는 서양화 50여 점과 유품 50여 점 등 총 100여 점이 전시되었다. 대륜고등학교 재직 중 만난 제자 김일환, 이동록, 정세유 등 중견 화가들도 찬조 출품하였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