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2595
한자 金燦虎
영어공식명칭 Kim Chanho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예술인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석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29년연표보기 - 김찬호 출생
수학 시기/일시 1945년 - 김찬호 중국 단둥 제1고등학교 졸업
활동 시기/일시 1956년 - 김찬호 대한민국 해군가 가사 모집에 1등으로 당선
활동 시기/일시 1957년 - 김찬호 6·25전쟁 기념 KBS 전국방송극 현상공모에 1등으로 당선
활동 시기/일시 1960년 - 김찬호 4·19혁명 100일 기념 제1회 합동예술제에 장막 희곡 「모기」 공연
활동 시기/일시 1966년 - 김찬호 대구문인협회 희곡분과위원장 역임
활동 시기/일시 1971년 - 김찬호 대구MBC 편집국 근무
활동 시기/일시 1981년 - 김찬호 문화방송 전국네트워크 계열사 작품 경연대회 은상 수상
활동 시기/일시 1982년 - 김찬호 문화방송 전국네트워크 계열사 작품 경연대회 대상 수상
몰년 시기/일시 2002년 12월연표보기 - 김찬호 사망
출생지 단둥 - 중국 단둥시
거주|이주지 평안북도 신의주 - 북한 평안북도 신의주시
학교|수학지 제1고등학교 - 중국 단둥시
활동지 대구 - 대구광역시
성격 극작가
성별 남성
대표 경력 대구문인협회 희곡분과위원장

[정의]

대구에서 활동한 극작가.

[개설]

김찬호(金燦虎)[1929~2002]는 1929년 중국 단둥에서 태어나 평안북도 신의주에서 성장하였다. 6·25전쟁 때 대구로 피난 와서 정착하여 극작가로 왕성하게 활동하였다. 작품집 『김찬호극작전집』[6권]이 있다.

[활동 사항]

김찬호는 1945년 중국 단둥의 제1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1946년 신의주 반공학생사건으로 월남하였다. 그 후 6·25전쟁 때 참전하여 종군기장을 받았다.

김찬호는 1956년 대한민국 해군가(海軍歌) 가사 모집에 1등으로 당선되었다. 1957년 6·25전쟁 기념 KBS 전국방송극 현상공모에 1등으로 당선되어 라디오 드라마 작가로 활동하였다. 1960년 4·19혁명 100일 기념 대구 시내 12개 단과대학 주관 제1회 합동예술제에 장막 희곡 「모기」가 한일극장에서 공연되면서 희곡작가로서 입지를 굳혔다.

김찬호는 1960년대 경상북도 문화공보실에 근무하면서 『재건』[『도정월보』의 전신] 등 각종 기관지 편집을 담당하였다. 1966년 대구문인협회 희곡분과위원장을 맡았다.

1971년 대구MBC 편집국에 근무하면서 당시 시사만평 프로그램인 「달구벌 만평」 대본을 집필하여 이름을 날렸다. 순수문학회 동인으로도 활동하였다.

김찬호는 2002년 12월 사망하였다.

[저술 및 작품]

김찬호는 대구 지역에서 극작가로 활동하며 많은 작품을 남겼다. 1962년 제1회 신라문화제에서 장막 희곡 「마의태자」를 상연하였고, 이어 대구 한일극장에서 공명선거 계몽 장막 희곡 「귀중한 한 표」를, 1973년 제11회 신라문화제 기념 공연 장막 희곡 「설경」을 상연하였다. 그리고 제3사관학교 창립 10주년 기념예술제에서 「전선에 핀 꽃」을 상연하였다.

김찬호는 1980년대에 라디오드라마 단막극 「끝없이 북으로」 외 100여 편을 발표하였고, 대구MBC에서 장편 라디오드라마 「여자의 일생」[30회]과 「빠삐용」[30회], 「달구벌 야화」[90회] 등을 방송하였다.

김찬호의 작품집은 『김찬호 극작집-희곡, 라디오 드라마, 오리지날 씨나리오』[용범출판사, 1969]와 『김찬호 극작전집-희곡·씨나리오 편』 6권[이학사, 1971]이 있다.

[상훈과 추모]

김찬호는 1981년 문화방송 전국네트워크 계열사 작품 경연대회에서 은상인 ‘사자상’을 수상하였고, 1982년에는 대상인 ‘한국문화방송 사장상’을 수상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