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2500
한자 琴經淵
영어공식명칭 Geum Gyeongyeon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예술인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신현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15년 6월 18일연표보기 - 금경연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34년 - 금경연 제13회 조선미술전람회 입선
활동 시기/일시 1939년 - 금경연 제18회 조선미술전람회 특선
몰년 시기/일시 1948년 4월 11일연표보기 - 금경연 사망
추모 시기/일시 1993년 10월 3일 - 금경연 화백 추모비 건립
추모 시기/일시 2003년 5월 24일 - 금경연 화백 예술기념관 개관
출생지 발리리 - 경상북도 영양군 수비면 발리리
학교|수학지 영양공립보통학교 - 경상북도
학교|수학지 대구사범학교 - 대구광역시 지도보기
묘소 금경연 묘소 - 경상북도 영양군 수비면 신원리 울련산
성격 예술인
성별 남성
본관 봉화
대표 경력 제18회 조선미술전람회 특선

[정의]

일제강점기 대구에서 수학한 서양화가.

[개설]

금경연(琴經淵)[1915~1948]은 1915년 6월 18일 지금의 경상북도 영양군 수비면 발리리에서 약천 금희성(琴凞星)[1778~1800]의 5대손으로 태어났다. 본관은 봉화이다.

[활동 사항]

금경연은 마을 명륜당에서 한학을 배우다가 영양공립보통학교에 편입하여 졸업하였다. 1932년 일제강점기에 중등 미술 교육을 담당한 국내 3대 사범학교 중 하나였던 대구사범학교 심상과에 입학하여 1937년 졸업하였다. 그 후 안동, 경산, 경주 등지에서 미술 교사로 활동하였으며, 영양 수비초등학교 교장으로 재직하였다.

금경연은 1934년 제13회 조선미술전람회에서 「양파와 능금」으로 입선하였고, 제14회에 「대구 시가지」로 입선하였으며, 제15회에 「신록의 풍경」으로 입선하였다. 1939년 제18회 조선미술전람회에서 성소병원 건물을 소재로 그린 「붉은 건물」로 특선하였다. 「붉은 건물」은 엽서로 제작되어 전국에 유포되었다.

금경연은 폐결핵으로 1948년 4월 11일 사망하였다.

[저술 및 작품]

금경연의 대표작은 대구문화예술회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여름정원」, 「경산 가로수 풍경」과, 금경연화백기념관에서 보관하고 있는 「약천정」, 「경주안압지풍경」 등이다.

[묘소]

금경연의 묘소는 경상북도 영양군 수비면 신원리 울련산 선산에 있다.

[상훈과 추모]

1993년 10월 3일 경상북도 영양군 수비면 발리리 323-2에 금경연 화백 추모비를 세웠으며, 2003년 금경연 화백 예술기념관이 개관하였다. 2002년 금경연의 생애를 다룬 『연두빛 정열-금경연 화백의 생애와 예술』이 발간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