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1728
한자 記念碑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임삼조

[정의]

대구·경북 지역에서 1895년부터 1960년까지 일어난 독립운동이나 6·25전쟁 관련 기념비.

[개설]

대구 지역 기념비는 대구 출신 인물과 대구 지역에서 일어난 국채보상운동, 3·1운동, 학생운동, 6·25전쟁, 2·28민주운동 등을 기념하는 비가 다수를 이룬다. 행정구역별 기념비 수는 중구 9기, 달서구 8기, 남구·달성군 5기, 동구 4기, 북구·수성구 3기, 서구 2기 등의 순이다. 중구 지역에는 주로 국채보상운동, 3·1운동, 일제강점기 학생운동 등을 기념하는 비가 주를 이룬다. 6·25전쟁 기념비는 6·25전쟁 격전지였던 만큼 대구 전역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다. 달서구 지역은 주로 일제강점기 학생운동을 이끌었던 대표적 학교들이 중구에서 달서구로 이전하면서 새롭게 기념비가 조성되거나 단양우씨 세거지에 만들어진 월곡역사공원 안에 여러 기가 조성되었다.

[지역별]

대구광역시에 있는 기념비를 지역별로 보면 다음과 같다. 동구에는 대구경북 항일독립운동 기념탑, 신암 선열공원, 이근석 장군 동상, 헤스 대령 기념비가 있다. 서구에는 백인 권준 장군 흉상, 참전용사 명예선양비가 있다. 남구에는 우재 이시영 선생 순국기념탑, 조선국권회복단 중앙총부 결성지, 낙동강승전기념관, 충혼탑, 학도의용군 6.25 참전 기념상[비]이 있다. 북구에는 목산 조현욱선생 순국 기념비, 장윤덕의사 순국 기념비, 6·25참전용사명예선양비가 있다. 중구에는 국채보상운동 기념비, 국채보상운동 여성 기념비, 대구 구 교남YMCA회관, 대구사범 항일학생 의거 순절동지 추모비, 대구학생 운동지, 석주 이상룡 구국 기념비, 신명 3·1운동 기념탑, 왕산 허위선생 순국 기념비, 이상화 시비가 있다. 수성구에는 우강 송종익선생 상, 나야 대령 기념비, 육군 공병5기 6·25 참전 기념비가 있다. 달서구에는 대구사범학생 독립운동 기념탑, 동암 서상일선생 상, 민족정기 탑, 태극단 학생 독립운동 기념탑, 한국유림 독립운동 파리장서 비, 2·28 학생의거 기념탑[두류공원], 2·28학생민주운동기념탑[대구상원고등학교], 대구상원고등학교 6·25참전 호국영웅명비가 있다. 달성군에는 순국선열 정학이 동상비, 6·25 참전용사 기념비, 유치곤장군 호국 기념관, 충혼탑, 필승기원비가 있다.

[사건별]

대구광역시에 있는 기념비를 사건별로 보면 다음과 같다. 1900년대[1907]와 관련하여 국채보상운동 기념비, 국채보상운동 여성 기념비가 있다. 3·1운동[1919]과 관련하여 대구 구 교남 YMCA회관, 목산 조현욱선생 순국 기념비, 신명 3·1운동 기념탑, 한국유림 독립운동 파리장서 비가 있다. 학생운동[1941~1942]과 관련하여 대구사범 항일학생 의거 순절동지 추모비, 대구사범학생 독립운동 기념탑, 대구학생 운동지, 태극단 학생 독립운동 기념탑이 있다. 6·25전쟁[1950]과 관련하여 6·25참전용사명예선양비, 6.25 참전용사 기념비, 나야 대령 기념비, 낙동강승전기념관, 백인 권준 장군 흉상, 유치곤장군 호국 기념관, 육군 공병5기 6·25 참전 기념비, 이근석장군 동상, 참전용사 명예선양비, 충혼탑[달성군], 충혼탑[남구], 필승기원비, 학도의용군 6·25 참전 기념상[비], 헤스 대령 기념비가 있다. 2·28민주운동[1960]과 관련하여 2·28 학생의거 기념탑이 있다. 1895년부터 1945년 8월과 관련하여 대구경북 항일독립운동 기념탑, 민족정기 탑, 신암 선열공원이 있다. 개인별로는 석주 이상룡 구국 기념비, 왕산 허위선생 순국 기념비, 우강 송종익선생 상, 장윤덕의사 순국 기념비, 이상화 시비, 동암 서상일선생상, 순국선열 정학이 동상비, 우재 이시영 선생 순국기념탑이 있다.

[국가보훈처 지정 기념비]

독립운동 현충 시설로는 국채보상운동 기념비, 국채보상운동 여성 기념비, 석주 이상룡 구국 기념비, 왕산 허위선생 순국 기념비, 우강 송종익선생상, 장윤덕의사 순국 기념비, 이상화 시비, 동암 서상일선생 상, 우재 이시영 선생 순국기념탑, 대구 구 교남 YMCA회관, 목산 조현욱선생 순국 기념비, 신명 3.1운동 기념탑, 한국유림 독립운동 파리장서 비, 대구사범 항일학생 의거 순절동지 추모비, 대구사범학생 독립운동 기념탑, 대구학생 운동지, 태극단 학생 독립운동 기념탑, 순국선열 정학이 동상비, 대구경북 항일독립운동 기념탑, 민족정기 탑, 신암 선열공원이 있다.

국가현충시설로는 6·25참전용사명예선양비, 6·25 참전용사 기념비, 나야 대령 기념비, 낙동강승전기념관, 백인 권준 장군 흉상, 유치곤장군 호국 기념관, 육군 공병5기 6·25 참전 기념비, 이근석장군 동상, 참전용사 명예선양비, 충혼탑[달성군], 충혼탑[남구], 필승기원비, 학도의용군 6·25 참전 기념상[비], 헤스 대령 기념비가 있다.

[참고문헌]
  • 국가보훈처(http://www.mpva.go.kr)
  • 국가보훈처현충시설정보서비스(http://mfis.mpva.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