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팔거리현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1037
한자 八居里縣
이칭/별칭 북치장리,인리,팔거리성,팔거리촌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고대/삼국 시대,고대/남북국 시대
집필자 박성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변천 시기/일시 757년 - 팔거리현에서 팔리현으로 개칭
변천 시기/일시 776년 - 팔리현에서 팔거리현으로 개칭
성격 행정구역

[정의]

현재의 대구광역시 북구 일부,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지천면, 동명면을 관할한 신라의 지방 행정구역명.

[개설]

팔거리현(八居里縣)은 현재의 대구광역시 북구 일부,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지천면, 동명면을 관할한 757년(신라 경덕왕 16)이전 신라의 지방 행정구역명이다.

『삼국사기(三國史記)』 지리지 양주(良州) 수창군(壽昌郡) 조에 팔리현(八里縣)은 본래 팔거리현(八居里縣)[북치장리(北耻長里)라고도 하고 인리(仁里)라고도 한다]인데 경덕왕(景德王)이 이름을 고쳤으며, 지금[고려 때]의 팔거현(八居縣)이라고 되어 있다. 현재의 대구광역시 북구 구암동, 국우동, 도남동, 관음동, 동천동, 읍내동, 학정동, 동호동, 태전동, 매천동, 팔달동, 금호동, 사수동,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지천면, 동명면에 해당한다.

[명칭 유래]

757년에 지명을 중국식[漢式]으로 개정할 때 팔거리현팔리현으로 고쳤다. 776년(혜공왕 12)에 지명을 예전의 것으로 되돌렸는데, 대체로 신라 말까지 신구의 2개 지명이 병용된 듯하다. 『삼국사기』 지리지에는 팔거리현을 북치장리 혹은 인리라고도 하였다고 되어 있다.

[형성 및 변천]

삼국시대에는 아직 현제(縣制)가 도입되지 않았기 때문에 팔거리현을 팔거리성 혹은 팔거리촌이라고 하였을 것이며, 달구벌[대구]을 중심으로 하는 군(郡)에 속하여 있었을 가능성이 크다. 팔거리현의 중심지는 팔거산성구암동 고분군이 있는 구암동 일대로 추정된다. 팔거산성함지산(函芝山)[287.7m] 정상부에 축조되어 있으며, 성벽의 둘레는 1,140m 정도이다. 구암동 고분군함지산 서쪽 사면, 주로 능선상에 조성되었으며, 무덤의 수는 봉분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총 346기 정도 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 고분군 아래 평지의 칠곡 생활 유적과 구암동 486-1유적에서는 굴립주(堀立柱) 건물이 주를 이룬 취락이 발굴되었으며, 아래쪽 동천동 유적에서는 삼국시대 관개시설이 확인되었다. 구암동 일대의 유적군은 산성과 취락, 생산 시설과 묘지를 갖춘, 5~6세기 지역 중심지의 모습을 잘 보여 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자연환경]

동명면에서 발원한 팔거천이 남쪽으로 흘러 금호강(琴湖江)으로 들어간다. 읍치 동쪽에 함지산이 있으며 함지산팔거산성(八莒山城)이 있다. 북쪽에는 팔공산(八公山)에서 이어진 가산(架山)[901.7m]이 있는데, 임진왜란 후에 가산에 가산성이 축조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영남대로가 가산 옆 소야고개를 넘어 팔거천을 따라 대구로 이어졌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