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0287
한자 京釜線
영어공식명칭 Gyeongbu Line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도로와 교량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은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준공 시기/일시 1905년 1월연표보기 - 경부선 전 구간 개통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6년 12월 8일 - 경부선 전 구간 전철화 개통
전구간 경부선 - 서울특별시 중구 봉래동2가 서울역~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 부산역지도보기
해당 지역 경유 구간 경부선 - 대구광역시 동구 신암동 동대구역지도보기~북구 칠성동2가 대구역지도보기
성격 철도
길이 총 연장 441.7㎞[총연장]
1,435㎜[궤간, 표준궤]

[정의]

대구광역시 동대구역대구역을 경유하여 서울특별시 서울역과 부산광역시 부산역을 잇는 간선철도.

[개설]

경부선은 서울특별시와 부산광역시를 연결하면서 대구광역시를 경유하는 철도 노선이다. 1904년 12월 27일 전 구간 공사 준공 후 1905년 1월 1일 전 구간을 개통하였다.

한국에서는 두 번째로 건설된 철도이며, 총 연장은 441.7㎞이다. 대구광역시에서는 대구광역시 동구 신암동 동대구역북구 칠성동2가 대구역을 경유한다.

[명칭 유래]

서울과 부산을 잇는 선이라 ‘경부선(京釜線)’이라 한다.

[제원]

2018년 현재 서울~부산 간 보통역 61개, 무배치 간이역 21개, 조차장 1개, 신호장 3개, 신호소 1개를 포함하고 있다.

[건립 경위]

경부선은 한국에서 러시아 세력을 배제하고 독점적 지위를 확보하기 위하여 일본이 부설한 철도이다. 1906년 개통된 경의선과 연결되어 일본의 한국 지배와 대륙 침략을 위한 철도 노선으로 만들어졌다.

일본 자본의 경부철도주식회사가 1901년 8월 20일 서울 영등포에서 북부 기공식을, 1901년 9월 21일 부산 초량에서 남부 기공식을 하였다. 1904년 12월 27일 전 구간 완공되어 1905년 1월 1일 전 구간 개통하였다. 1905년 9월 11일 관부연락선을 매개로 경부선과 일본 철도를 연결하였다. 1906년 경의선 개통 후, 부산과 신의주의 직통 급행열차인 융희호를 1908년에 운행하였다. 그 후 경부선, 경의선 연결 노선이 만주까지 직통 급행을 운행함으로써 경부선은 국제선의 기능을 하게 되었다.

[변천]

1939년 전 구간 복선화되었다. 1974년 서울~수원 간 전철화, 2005년 수원~천안 간 2복선 전철화, 천안~조치원 전철화, 2006년 조치원~대구 간 전철화 사업으로 2006년 12월 경부선 전 구간 전철화가 완료되었다.

1971년 12월 29일 동구 신암동동대구역이 준공되었다. 이후 2004년 구 역사와 통합된 동대구역 남쪽 새 역사에 KTX가 정차하게 되었으며, 2016년 12월 9일 SRT도 정차하게 되었다.

[현황]

2018년 현재 경부선 일평균 여객 수송 실적은 주중 10만 848명, 주말 14만 7525명이다. 2020년 대구역 여객 수송 실적은 310만 1849명으로, 승차 인원이 새마을 32만 959명, 무궁화 123만 1788명, 합계 155만 2747명이며, 하차 인원이 새마을 29만 5524명, 무궁화 125만 3578명, 합계 154만 9102명이다.

경부선 철도의 대구 구간은 대구광역시 달성군, 서구, 북구, 중구, 동구, 수성구를 통과하며, 경부선의 KTX, SRT열차를 비롯한 새마을호, 무궁화호, 통근열차 등은 동구의 동대구역과 북구의 대구역[KTX, SRT열차 제외]을 경유한다. 경부선 운행 시 대구의 최초역은 대구역이었으나, 도시의 확대에 따른 대구역 확장이 불가능하여 1971년 대구시 동구에 동대구역을 신설하였다. 고속열차는 동대구역에만 정차하고 있다.

대구광역시는 대구 도심 구간[신동역~고모역]의 KTX전용선을 개통함에 따라 기존 경부선의 선로 여유 용량을 활용하는 방안으로 2015년부터 구미~동대구~경산을 연결하는 총 연장 61.85㎞의 대구권 광역철도 건설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대구권 광역철도 건설 사업은 새로 철도를 부설하는 것이 아니라 광역철도가 운행할 수 있도록 승강장 개량, 부본선 설치 등 기존 역 일부 시설을 개량 및 신설하는 것이다. 대구권 광역철도 건설 사업은 2023년 개통을 예정으로 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