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2349
한자 李億祥
영어공식명칭 Lee Eoksang
이칭/별칭 대요(戴堯),수헌(守軒)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대구광역시 북구 동변동|서변동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구본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35년 9월 26일연표보기 - 이억상 출생
몰년 시기/일시 1905년 1월 23일연표보기 - 이억상 사망
출생지 무태 - 대구광역시 북구 동변동|서변동
거주|이주지 무태 - 대구광역시 북구 동변동 지도보기|서변동지도보기
묘소|단소 이억상 묘소 - 대구광역시 북구 서변동 도곡지도보기
성격 학자
성별 남성
본관 인천(仁川)

[정의]

조선 후기 대구 출신의 학자.

[가계]

이억상(李億祥)[1835~1905]의 본관은 인천(仁川)이며, 자는 대요(戴堯), 호는 수헌(守軒)이다. 아버지는 이석린(李錫麟)이고, 어머니는 문화류씨(文化柳氏)이다. 아들은 이병운(李柄運)이다.

[활동 사항]

이억상은 1835년(헌종 1) 9월 26일 대구 무태(無怠)[현 대구광역시 북구 동변동·서변동]에서 태어났다. 어릴 적부터 학문을 닦아 향시(鄕試)에 합격하였으나, “선비가 입신을 하는 길이 반드시 과거에만 있는 것이 아닌데 어찌 이러한 곳에 마음을 수고롭게 하는가?”라는 말을 듣고 과거 준비를 폐하고 『심경(心經)』·『근사록(近思錄)』·『사서(四書)』에 힘을 기울였다.

이억상일신정(日新亭)을 짓고 경전을 연구하며 강학하였다. 당시 대구 지역의 명유(名儒)인 임재(臨齋) 서찬규(徐贊奎)·경재(景齋) 우성규(禹成圭) 등과 교유하였으며, 연재(淵齋) 송병선(宋秉璿)·면암(勉菴) 최익현(崔益鉉)이 일신정을 방문하여 강학하기도 하였다. 인천이씨 대구 입향조 이주가 지었던 환성정(喚惺亭)서계서원(西溪書院) 경내에 재건립하고 중수기문을 짓기도 하였다. 1905년(광무 9) 9월 26일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이억상의 저술로는 『수헌집(守軒集)』이 있다.

[묘소]

이억상의 묘소는 북구 서변동 도곡에 있다. 묘갈명은 1909년 심석재(心石齋) 송병순(宋秉珣)이 지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