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516
한자 鴻山萬德橋碑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비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북촌로 47[북촌리 211-2]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행묵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681년연표보기 - 홍산만덕교비 건립
보수|복원 시기/일시 1869년 - 홍산만덕교비 개수
이전 시기/일시 1946년 - 홍산만덕교비 이전
문화재 지정 일시 1973년 12월 26일연표보기 - 홍산만덕교비 충청남도 기념물 제3호 지정
보수|복원 시기/일시 1994년 - 홍산만덕교비 돌다리로 복원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11월 19일 - 홍산만덕교비 충청남도 기념물로 변경 지정
현 소재지 홍산객사 -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북촌로 47[북촌리 211-2]지도보기
성격
관련 인물 이복정|우정구
재질 화강암
크기(높이, 너비, 두께) 높이 112㎝, 너비 56㎝[비신]|높이 43㎝, 너비 64㎝[머릿돌]
소유자 국가|부여군
관리자 부여군청
문화재 지정 번호 충청남도 기념물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남촌리에 있는 만덕교 건립을 기념하는 조선 후기의 비석.

[개설]

홍산만덕교비(鴻山萬德橋碑)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홍산천(鴻山川)만덕교(萬德橋)를 건립하면서 세운 비이다. '만덕(萬德)'은 만인에게 덕을 끼친다는 뜻이다. 『여지도서(輿地圖書)』에 따르면 만덕교홍산현 객사(客舍) 앞에 있는 다리였다. 하천은 농지 정리 이후 현재는 모습을 찾을 수 없다. 1869년 개수한 사실이 개건비에 기록되어 있다. 1946년 큰 홍수로 다리가 무너졌으나 1994년 돌다리로 복원되었다.

홍산만덕교비만덕교 건립을 기념하여 세운 비로 다리의 건립 경위나 참여자들의 명단이 새겨져 있다. 홍산만덕교비는 1973년 12월 26일 충청남도 기념물 제3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충청남도 기념물로 변경되었다.

[건립 경위]

만덕교는 1681년(숙종 7) 홍산천에 건립되었다. 비문에 따르면 진사 이복정(李復亨)이 찬하고 우정구(禹鼎九)가 글씨를 썼다.

[위치]

홍산만덕교비는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북촌로 47[북촌리 211-2] 홍산객사 안에 있다. 만덕교홍산객사 동쪽 약 200m 떨어진 지점인 홍산배수장에 있다.

[형태]

홍산만덕교비는 화강암으로 만들어졌으며, 비신과 머릿돌이 하나의 돌로 이루어진 형태이다. 비신은 높이 112㎝, 너비 56㎝이고, 머릿돌은 높이 43㎝, 너비 64㎝이다. 구름 문양이 조각된 머릿돌은 꼭대기가 둥글게 마감되어 있다.

[금석문]

홍산만덕교비 비신 전면에는 ‘만덕교지비(萬德橋之碑)’라는 제액(題額)이 해서체로 새겨져 있다. 비문에 따르면 홍산객사 동쪽에 시내가 있는데, 다리가 없어서 첨지 서덕해(徐德海)가 오랜 시간에 걸쳐 무지개 모양의 돌다리를 놓았다는 건립 경위가 기록되어 있다. 만덕교의 건립 시기는 정확하지 않으나 비석이 세워진 시기는 1681년(숙종 7) 무렵으로 추정된다. 비석의 뒷면에는 다리를 만들 때 물자를 댄 사람들과 다리 건설에 참여한 석공, 야장의 명단이 나열되어 있다.

[현황]

홍산만덕교비는 1946년 큰 홍수로 다리가 무너지면서 홍산초등학교 앞으로 이건하였다가 현재는 홍산객사 안으로 옮겨 놓았다. 홍산만덕교비 측면에는 안내 표지판이 세워져 있다.

[의의와 평가]

홍산만덕교비는 부여와 홍산 지역의 교통로와 하천의 흐름을 알려 주는 중요한 유적이다. 홍산만덕교비 외에도 1869년 건립된 만덕교 개건비가 남아 있어 홍산만덕교 건립 및 개건에 대한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