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800172
영어공식명칭 Tunnel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남도 보령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원회

[정의]

충청남도 보령시에 있는 산, 바다, 강 따위의 밑을 뚫어 만든 철도나 도로 따위의 통로.

[개설]

터널은 용도에 따라 철도·도로·수로·광산 터널로 나뉘고, 터널 장소에 따라 산악·시가·수저(水底) 터널로 나뉘는데, 최근에는 장대한 터널이나 해저 터널도 건설되고 있다. 보령시에도 곳곳에 여러 개의 터널이 개설되어 있는데, 용도별로는 철도·도로·수로 터널에 해당하고, 터널 장소에 따라서는 산악·수저[해저] 터널에 해당한다.

[보령시 터널의 분포]

보령시에 개설된 터널은 8개가 있는데, 주산면 증산리웅천터널, 미산면 남심리와 서천군 판교면 사이의 금암터널, 내항동남포면 봉덕리 사이의 공덕터널, 주교면 관창리의 관창터널, 주교면 주교리의 됨박터널, 주교면 신대리죽정동 사이의 봉황터널, 명천동성주면 성주리 사이의 성주터널, 신흑동오천면 원산도리 사이의 보령해저터널이 그것들이다.

[보령시 터널의 용도와 장소]

보령시에 개설된 터널은 용도에 따라 철도터널, 도로터널 및 수로터널로 분류할 수 있다. 철도터널로는 장항선에 개설된 금암터널, 공덕터널, 관창터널 및 됨박터널이 있고, 도로터널로는 서해안고속국도에 개설된 웅천터널, 국도 제21호선에 개설된 봉황터널국도 제40호선에 개설된 성주터널이 각각 있다. 그리고 수로터널로는 보령해저터널이 있다.

보령시에 용도별로 개설된 터널은 장소에 따라 산악터널과 수저[해저]터널로 분류할 수 있는데, 철도터널과 도로터널은 모두 산악터널에 해당되고, 보령해저터널은 수저[해저]터널에 해당된다.

[보령해저터널의 준공]

보령해저터널국도 제77호선의 일부로 서해 해저에 2021년에 건설된 터널로 보령시의 신흑동오천면 원산도리원산도를 연결한다. 해저터널의 전체 길이는 6,927m이다. 2019년에 원산도~안면도 간의 원산안면대교가 준공된 데 이어 보령해저터널이 준공됨으로써 보령시 신흑동대천항오천면원산도 및 태안군의 안면도 영목항이 완전히 연결되어, 미연결 상태였던 보령 대천항과 안면도 영목항 간의 국도 제77호선이 완전히 연결되게 되었다. 보령 대천항에서 안면도 영목항까지의 이동거리는 기존 75㎞에서 14㎞로, 이동 시간은 기존 90분에서 10분으로 각각 크게 단축되었다. 이로써, 보령시의 대천항대천해수욕장원산도 일대는 물론 인접한 태안군 안면도 일대의 관광산업이 크게 발전하고, 이 지역들 간의 인적 및 물적 교통이 보다 원활해지면서 지역 발전 전반을 촉진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